기사 메일전송
[피부과 시술 제대로 알기]‘힐로웨이브’ 피부 탄력부터 수분감까지…장점 및 주의점은?
  • 기사등록 2025-07-28 16:04:39
기사수정

노화로 인한 피부 변화는 나이가 들면서 천천히 찾아온다. 


이에 어느 순간 거울 속 변해버린 내 모습이 낯설게 느껴지기도 한다. 


노화로 인해 피부 탄력이 떨어지면 얼굴이 밑으로 처지면서 얼굴 라인이 무너지고, 볼륨이 소실되어 곳곳이 푹 꺼지게 된다. 


청담 디알피부과 방숙현 원장(대한피부과학회 정회원)은 “이러한 변화는 피곤하고 생기 없는 인상과 함께 나이 들어 보이는 노안을 만드는 원인이 된다. 이에 손상되고 약해진 피부를 회복하여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힐로웨이브와 같은 스킨부스터 시술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힐로웨이브란?

힐로웨이브는 안전성이 입증된 프랑스산 고순도 히알루론산 성분을 사용해 생체 적합성이 뛰어난 제품으로, 고분자, 저분자 히알루론산이 이중 배합되어 있다. 


방숙현 원장은 “고분자 히알루론산이 피부 표면에 작용해 지속적인 보습막을 형성하며, 저분자 히알루론산이 피부 깊은 곳에 침투하여 콜라겐, 엘라스틴 생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라고 설명했다. 


◆“피부 탄력 증진 효과 기대”

이에 시술 직후 즉각적으로 피부 수분감을 개선해 속 건조를 개선하고, 피부 탄력과 볼륨감을 개선해 준다. 


피부층의 콜라겐과 엘라스틴 단백질의 발현 효과를 높여 피부 전 층의 리모델링을 유도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피부 탄력이 증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방숙현 원장은 “이를 통해 꺼진 부위에 볼륨을 자연스럽게 채워주며, 피부 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자연스러운 리프팅 효과도 볼 수 있으며, 피부 결과 톤까지 개선되어 전반적인 피부 질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라고 밝혔다. 


◆옆 볼 패임 힐로웨이브

광대 부위에 시술해 볼륨을 살려 얼굴 전체적인 입체감을 높일 수 있으며, 앞볼 힐로웨이브로 앞볼에 볼륨감을 형성해 생기 있고 어려 보이는 인상을 만들 수 있다. 


방숙현 원장은 “팔자주름 부위의 꺼짐을 개선해 인상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며, 옆 볼 패임 힐로웨이브(땅콩형 얼굴 힐로웨이브)로 얼굴형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라고 말했다.  


◆중안부 축소 힐로웨이브

더불어 밋밋하고 푹 꺼져 보이는 중안부로 인해 나이 들어 보이는 얼굴이 고민인 경우에도 개선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개인의 얼굴형에 따라 시술 디자인을 계획하여, 중안부 축소 힐로웨이브 시술로 피곤해 보이는 중안부를 개선해 볼 수 있다. 


방숙현 원장은 “힐로웨이브는 피부 본연의 재생 능력을 활용해 노화로 인한 변화가 찾아온 얼굴 변화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라며, “얼굴 한 쪽당 1~5개의 최소 주사 포인트로 진행되어 힐로웨이브 통증이 적으며, 시술 후에도 멍이나 힐로웨이브 붓기가 적어 일상생활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개인의 피부 상태에 따라 힐로웨이브 효과, 힐로웨이브 유지 기간에 차이가 날 수 있으며,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다.”라며, “이에 힐로웨이브 잘하는 곳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가격, 비용보다는 후기를 통해 시술 경험이 풍부한 숙련된 의료진이 정확한 진단을 통해 개인별 맞춤 시술을 진행하는 힐로웨이브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899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건의료노조, 127개 의료기관 쟁의조정 신청 완료…7월 24일 총파업 예고
  •  기사 이미지 [6~7월 제약사 이모저모]베이진, 신신제약, 한국머크, 티디에스팜,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목암생명연, 바이엘, 엔지켐생명과학, 한국로슈, 한국머크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