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엔 무더운 날씨를 피하기 위해 장시간 에어컨을 가동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여름철 과도한 냉방 사용은 냉방병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냉방병이란?
냉방병은 신체가 갑자기 냉기에 노출되어, 체온 조절 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
재채기, 두통 등의 단순 감기 증상 외에도 근골격계 통증으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
차가운 에어컨 바람에 신체가 노출되면 혈관이 수축하여 혈액순환이 저하되면서, 근육이 경직되고 긴장이 증가하게 된다.
수원고려본정형외과 신영수 대표원장(대한정형외과학회 정회원)은 “이는 허리, 무릎 등에 통증을 유발하여, 특히 평소 디스크나 관절 질환이 있었다면 통증이 악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증상은 좌식 생활, 차가운 바닥 생활 등과 맞물려 더 악화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냉방병 예방법
냉방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실내 온도를 22도 이상으로 유지하고, 추운 환경에서는 긴 팔, 두꺼운 옷 등을 통해 체온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
규칙적인 실내 환기도 필요하며, 차가운 물보다는 미지근한 물을 마시는 습관을 지니는 것이 좋다.
또한, 근육량이 적을수록 냉방병에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 꾸준한 운동을 통해 적정량의 근육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근골격계 질환자들 각별한 주의 필요
신영수 원장은 “여름철 과도한 냉방은 단순한 감기, 몸살을 유발하는 것을 넘어, 근육과 관절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차가운 실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 체온이 떨어지면서 말초혈관이 수축하고, 전신의 혈액순환이 저하되어 근육이 긴장하게 된다. 이러한 근육 경직 상태가 지속하면 허리나 무릎과 같은 관절 부위에 통증이 생기기 쉽다.”라며, “특히, 기존에 디스크, 관절염 등 근골격계 질환이 있던 이들은 여름철 냉방 환경에서 통증이 심해지거나 재발할 우려가 크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통증이 자주 재발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다면 단순한 냉방병이 아닌 근골격계 이상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은 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라며, “냉방병으로 인한 근골격계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에어컨을 사용할 때 실내외 온도차를 5~7도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무릎이나 허리를 직접 냉기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얇은 담요나 보호대를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