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모발이식 제대로 알기]모발이식 선택시 알아두면 도움 되는 ‘3가지 시스템’
  • 기사등록 2025-07-21 14:03:00
기사수정

모발이식은 단순히 머리카락을 심는 수술이 아니라, 수술 전 설계부터 이식 후 생착까지 복합적인 과정을 포함한다. 


그만큼 의료진의 풍부한 시술 경험과 숙련도는 여전히 중요한 기준이 된다. 


강남 모제림성형외과 황정욱(대한성형외과학회 회원) 대표원장은 “오랜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술을 집도하는 의료진이 있는 병원은 환자 입장에서 신뢰할 만한 선택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특히 의료진의 전문성과 병원의 시스템이 균형을 이룰 때, 비로소 높은 생착률과 장기적인 만족도로 이어질 수 있다. 


황정욱 원장은 “숙련도가 기본이라면, 그 숙련도를 충분히 발휘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시스템 역시 함께 고려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 생착률을 높이는 시스템 – 모낭분리 숙련도 중심

모낭이 이식된 이후 생존하고 자라는 비율, 즉 생착률은 수술의 성패를 결정하는 핵심 지표다. 


이를 높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술 과정 중 하나가 바로 모낭을 채취한 후 손상 없이 분리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은 집도의가 아닌 전담 모낭분리사에 의해 고배율 현미경 아래에서 이뤄지며, 숙련된 손기술과 팀워크가 필수적이다. 


황정욱 원장은 “수술팀의 구성과 안정성, 모낭분리사들이 얼마나 오랜 기간 전문성을 쌓아왔는지는 생착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다. 모낭분리 숙련도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수술 결과를 뒷받침하는 병원의 시스템 역량이다.”라고 밝혔다.


◆ 객관화된 데이터로 설명하는 시스템

모발이식은 수술 직후의 모습만 보고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시간이 지나면서 모낭이 자리 잡고, 실제로 얼마만큼의 모발이 유지되느냐가 중요하다. 


이 때문에 병원이 모낭 손상률, 생착률, 경과 변화 등의 데이터를 수치로 관리하고 설명할 수 있는지는 매우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황정욱 원장은 “단순한 후기나 사진 중심의 설명이 아니라, 실제 결과를 수치 기반으로 안내할 수 있는 병원은 내부적으로 결과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객관적 수치와 데이터로 설명 가능한 병원인지 여부가, 환자 입장에서는 가장 현실적인 ‘결과 예측 도구’가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수술 후 1년까지 이어지는 장기 사후관리 시스템

모발이식의 최종 결과는 수술 당일보다, 그 이후의 관리 과정에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식된 모낭은 수술 후 약 1년 동안 생착 과정을 거치며 그 사이 다양한 변수에 노출된다. 


이 시기에 두피 관리, 염증 예방, 혈류 개선, 모낭 손상률 체크, 경과 모니터링 등이 적절히 이뤄져야 생착률과 밀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황정욱 원장은 “병원을 선택할 때는 수술 전후 상담뿐만 아니라, 수술 이후 1년 이상 환자의 회복 경과를 책임지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는지 여부도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모발이식의 진짜 결과는 수술 직후가 아니라, 1년 후의 상태로 증명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모발이식은 단순히 수술만 잘한다고 끝나는 시술이 아니며, 수술 후 1년간의 꾸준한 경과 관리까지 포함되어야 완성도 있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모낭 손상률, 생착률 같은 수치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지, 그리고 환자의 상태를 1년 동안 책임지고 관리하는 체계가 갖춰져 있는지 등을 함께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886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건의료노조, 127개 의료기관 쟁의조정 신청 완료…7월 24일 총파업 예고
  •  기사 이미지 [6~7월 제약사 이모저모]베이진, 신신제약, 한국머크, 티디에스팜,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목암생명연, 바이엘, 엔지켐생명과학, 한국로슈, 한국머크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