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민 10명 중 9명 “디지털미디어 중독 심각”…기업·정부 개입 절실 - 중독포럼 13주년 기념 대국민 조사 결과 발표 - 보건복지부 중심 정신건강 문제 접근 61%지지
  • 기사등록 2025-06-19 23:02:14
기사수정

국민 10명 중 9명이 디지털미디어 중독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단법인 중독포럼이 창립 13주년을 맞아 실시한 ‘새정부에 바라는 디지털미디어 중독예방정책’ 대국민인식조사에서 응답자의 89%가 성인의 디지털미디어 중독을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기업과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 SNS·동영상 중독 우려 최고조

이번 조사는 2025년 6월 9일부터 13일까지 전국 10대~50대 국민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디지털미디어 중독 유형 중 SNS 중독에 대한 우려가 91.2%로 가장 높았고, 동영상 중독이 88.0%로 뒤를 이었다.

특히 응답자의 64.4%가 스스로 사용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답해 중독 문제가 개인적 경험으로도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연령별로는 40대가 청소년 디지털미디어 중독에 대해 93%의 가장 높은 우려를 나타냈다.

◆ 기업 사회적 책임 이행 ‘미흡’ 평가

기업의 중독 예방 노력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었다. 

SNS 기업의 청소년 보호 노력에 대해 54.6%가 부족하다고 평가했으며, 동영상 플랫폼 기업 노력도 55.6%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게임 기업의 중독 예방 노력 역시 42%가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인식은 구체적인 규제 정책 지지로 이어졌다. 

‘교내 스마트폰 사용 제한’에 78.4%, ‘기업의 나이 확인 절차 강화’에 77.4%,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 규제’에 76.4%가 찬성했다.


◆ 정부 정책 방향성 제시

문제 해결 주체에 대해서는 ‘개인의 노력’이 92.6%로 가장 높았지만, 가정(76.0%), 정부(69.0%), 기업(67.0%)의 역할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사회 전체의 협력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정책 거버넌스 관련해서는 디지털 중독 문제를 ‘보건복지부’가 정신건강 문제로 접근하는 방안에 61.2%가 “적절하다”고 답해 산업 중심이 아닌 공중보건 관점의 접근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기술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정부 규제 필요성에는 87.4%가 동의했으며, 새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는 ‘플랫폼 기업 규제 및 책임 강화’와 ‘예방 교육’을 꼽았다.


◆ 13주년 기념 세미나 개최

한편 중독포럼은 6월 20일 오후 3시 30분 서울성모병원 옴니버스파크에서 ‘디지털미디어중독에 대한 효과적 개입 전략’을 주제로 13주년 기념 세미나를 개최한다.

1부에서는 대국민인식조사 결과 발표와 함께 이해국 중독포럼 상임이사가 새정부 정책 제안을 발표하고, 2부에서는 의학·심리학·사회복지학·보건학 전문가들이 뇌과학적 접근,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 사회환경적 요인, 역학 연구 기반 개입 전략을 논의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824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