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바이오협회가 차기 정부에 국내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 생태계 조성 10대 과제’를 제안했다.
◆ 바이오기업들 응답자 74% “현재 자금사정이 원활하지 않다”
한국바이오협회가 국내 136개사 최고경영자 및 임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4%가 현재 자금사정이 원활하지 않다고 밝혔다.
76%는 자금난으로 연구개발 일정에 차질이 발생했다고 답했다.
자금 사정 개선 시기에 대해서는 58%가 “알 수 없다”고 응답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71%의 응답자가 “바이오기업 창업을 후회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들은 인류 건강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명감과 기술력에 대한 확신, 미래산업으로서의 성장가능성을 창업의 가치로 꼽았다.
반면 창업을 후회한다는 29%의 응답자들은 자금 조달의 어려움, 과도한 규제, 비현실적인 제도 및 평가 기준, 장기적 산업 육성 정책 부재 등 구조적 문제를 지적했다.
특히 제품 상용화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는 바이오산업 특성에 비해 국책과제는 단기성과에 치우쳐 있어 실질적인 연구개발과 사업화에 걸림돌이 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 바이오산업 도약을 위한 10대 핵심 과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바이오협회는 차기 정부에 다음과 같은 10대 과제를 제안했다.
▲ 창업 생태계 강화
'코리아 바이오 부트 캠프'를 통해 바이오 창업에 대한 교육과 멘토링을 확대 지원해야 한다.
▲ R&D 투자 확대
정부 부처의 바이오 R&D를 지속 확대하고 대규모 상업화 펀드를 조성해 '블록버스터 신약 만들기'를 추진해야 한다. 또한 AI신약개발을 위한 ‘바이오 스타게이트’ 출범이 필요하다.
▲ 스타트업 성장 지원
시리즈B 이하에 대한 모태 펀드 확대와 새로운 바이오 분야 투자 유인을 위한 ‘죽음의 계곡 넘기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
▲ 상장 조건 완화
기술특례 상장 및 유지 조건 완화를 통해 바이오기술 기업의 상장을 활성화하는 ‘바이오 문호 개방 프로젝트’'가 필요하다.
▲ 인력 양성 체계 구축
현장 수요 맞춤형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바이오산업 아카데미’를 설립해야 한다.
▲ 규제 합리화
'K-바이오 규제개혁 담당관'을 통해 규제정보 구축, 네거티브 규제화, 데이터 활용 촉진 등을 추진해야 한다.
▲ 지식재산권 강화
‘글로벌 진출형 바이오 IP-R&D’를 통해 특허권 확보와 무형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한 R&D 지원이 필요하다.
▲ 제조 경쟁력 강화
'바이오 수요-공급 협의체'를 활성화하고 바이오 소부장 및 원료의약품 자립화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이 중요하다.
▲ 글로벌 진출 지원
‘바이오 수출통상지원센터’를 설립해 주요국 인허가, 무역 및 투자 정책을 분석하고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전문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 법적 기반 마련
다양한 바이오 분야를 종합 지원하고 정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바이오산업 종합 육성법’ 제정이 필요하다.
◆ 산학연 전문가들 "바이오산업 생태계 혁신 필요"
한국바이오협회는 이승규 부회장을 좌장으로, KAIST 이상엽 연구부총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권석윤 원장 등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위기의 K바이오, 글로벌 바이오강국으로의 대전환을 위한 토론회’도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바이오산업 생태계 구성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혁신 필요성이 강조됐다.
전문가들은 투자, R&D, 상장, 규제, 인력/데이터, 창업, 특허, 공급망 등 바이오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친 혁신이 차기 정부의 중요 과제라고 입을 모았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