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법원, 의대교수협 ‘의대증원 취소소송’ 각하 - “복지부장관 증원 발표는 소송대상 처분 안 돼”
  • 기사등록 2025-03-21 21:00:03
기사수정

서울행정법원이 21일 전국 33개 의과대학 교수협의회가 보건복지부·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제기한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 결정 취소소송을 “원고적격이 없다”는 이유로 각하했다.


◆ 법원 “교수협의회, 소송 당사자 자격 없어”

서울행정법원 행정11부(김준영 부장판사)는 교수협의회가 교육부장관의 증원 배정 처분의 직접 상대방에 해당하지 않고, 교수로서의 이익 또한 관계법규에서 보호하는 직접적·구체적 법률상 이익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원고들에게 처분의 취소를 구할 원고 적격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법원의 결론이다. 


각하는 소송이 요건을 갖추지 못하거나 청구 내용이 판단 대상이 아닐 경우 본안을 심리하지 않고 재판을 끝내는 결정이다.


◆ “복지부 발표, 행정소송 대상 아냐”

재판부는 복지부 장관의 증원 발표에 대해 “행정청의 내부적 의사결정을 대외적으로 공표한 것에 불과하다”며,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증원 자체는 교육부 장관의 입학정원 증원 배정에 따라 이뤄지므로 복지부 장관의 발표는 소송 대상이 아니란 것이다. 


항고소송은 행정청의 처분을 무효, 취소로 다투거나 부작위가 위법하다는 것의 확인을 구하는 소송이다.


이번 결정은 의료계가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잇따라 제기한 취소소송 가운데 나온 법원의 첫 판단이다.


◆ 의대 증원 정책 추진 경과

지난해 2월 보건복지부는 2025학년도부터 전국 의과대학 입학정원을 3,058명에서 2,000명 증원한 5,058명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각 대학으로부터 의대 입학정원 증원 신청을 받아 2025학년도 전체 의대 입학정원을 2,000명 증원해 대학별로 배정했다.


전국 33개 의대 교수협의회는 복지부 장관에게 고등교육법상 대학교 입학 정원을 결정할 권한이 없으므로, 의대 정원 증원 결정이 무효라고 주장하며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이들이 신청한 집행정지 신청은 지난해 6월 대법원에서 기각·각하 결정이 확정됐다.


한편 이번 판결로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은 법적 장애물 없이 추진될 것으로 보이나, 의대생들이 어떻게 결정할지는 아직 확실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655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국룬드벡, 한국다케다제약, 포트노바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메디톡스, 셀리드, 입센,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월 제약사 이모저모]비보존제약, 지씨셀, 노보 노디스크,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