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불필요한 백내장 수술 ‘新 자가 형광 촬영기술’로 막는다…국내 특허 등록 - 고려대안산병원 엄영섭 교수팀
  • 기사등록 2025-03-19 21:50:02
기사수정

국내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특정 필터로 자가 형광(Autofluorescence, AF) 신호를 정밀하게 촬영해 백내장과 노안 등 수정체 이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백내장 진단의 경우 의료진의 주관이 개입할 수 있는 만큼, 이번 기술 개발로 보다 객관적인 진단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안과 엄영섭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의 자가 형광 촬영 및 영상 평가 기술을 개발해 최근 국내 특허 등록을 마쳤다.

(도면자료 : 분석 필터를 활용해 자가 형광 신호를 촬영함으로써수정체 이상 여부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자가 형광은 외부에서 형광 물질을 주입하지 않아도, 조직 자체가 특정 파장의 빛을 받으면 형광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우리 안구 조직에는 리포푸신과 같은 자연 형광 물질이 존재한다. 


이 자가 형광을 촬영하면 망막 질환이나 이상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다만 현행 안저 자가 형광(Fundus Autofluorescence, FAF) 촬영 기술은 주로 황반변성 등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데 국한 돼 있어 노안이나 백내장과 같은 수정체 이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번에 새로 개발된 자가 형광 촬영 장치 및 평가 시스템은 기존의 망막 질환 진단 기술을 넘어, 수정체의 혼탁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평가할 수 있도록 확장된 것이 특징이다. 


먼저 자가 형광 촬영 장치는 특정 광원으로 눈을 조명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가 형광을 유도하고, 이를 영상 센서로 감지해 촬영한다. 


이때 빛의 투과도를 조절하는 분석 필터를 사용해 보다 정밀한 자가 형광 영상을 얻는다. 영상 평가 장치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수정체 혼탁도나 백내장 등급 등을 수치 기반으로 평가해 수정체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엄 교수는 “기존 백내장 평가 방식은 의료진이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해야 하기 때문에 의료진마다 평가 결과가 다를 수 있었다”며, “보다 객관적인 평가 방법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불필요한 검사와 수술을 방지할 수 있어 환자의 경제적, 신체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650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국룬드벡, 한국다케다제약, 포트노바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메디톡스, 셀리드, 입센,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월 제약사 이모저모]비보존제약, 지씨셀, 노보 노디스크,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