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제약업체들, 연초부터 의약품 가격 인상…제반경비 지속 상승 등 원인 - 2024년 한방약 가격 역대 최대 10.5% 급등
  • 기사등록 2025-02-09 12:30:03
기사수정

올해는 연초부터 비타민제와 진통제, 피부질환제 등 의약품 전반으로 가격 인상이 확산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에 이어 원부자재 비용 상승 추세 등이 이어지면서 가격인상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라는 반응들이 나오고 있다. 


◆제약업체들 의약품 가격 인상

대표적으로 인상된 부분들은 다음과 같다.  


▲광동제약

광동제약은 비타민제인 비타500 100㎖ 가격을 1,100원, 180㎖ 가격을 1,700원으로 100원씩 인상했다.  


▲동성제약 & GC녹십자

3월부터 동성제약 정로환의 경우 10%, GC녹십자 소염진통제 탁센은 16% 인상한다.


▲보령 & 위드원바이오

보령은 진해거담제 용각산쿨을 7~8%, 위드원바이오는 키미테를 7.9% 인상했다.


▲동아제약

동아제약은 3월 1일부터 약국 판매용 박카스D 공급가격을 10.9%, 일반 대리점 유통용 박카스F 공급가격을 11.1% 인상하기로 했다.

오는 4월 1일부터는 피부질환제 애크논 크림과 애크린 겔의 공급가도 14.8% 인상한다는 계획이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이번 가격인상은 그동안 고객의 부담을 감안하여 공급가격 인상을 최대한 억제해 왔지만, 원부자재와 제조경비 등 제반경비의 지속된 상승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결정됐다.”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제품의 품질개선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우황 등 원재료 가격 급등 

한방약 가격들도 상승했다.   

한방약 물가지수는 2005년 68.550에서 2006년 68.441로 0.2% 하락한 이후 2007년부터 18년 연속 상승했다.

특히 지난 2024년 한방약 가격 상승률이 2005년 한방약 물가지수가 집계된 이후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24년 한방약 소비자물가지수는 124.63으로 2023년 112.82보다 10.5% 급등했다.

한방약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 이유는 우황 등 원재료 가격이 급등한 것이 주된 이유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 우황청심원의 경우 우황 가격이 지난 2012년부터 상승세를 보였고, 2024년 초에는 1년 전의 약 2배(1㎏당 약 2억 5,000만원) 급등하면서, 일부 제약사들의 경우 우황청심원 제·판매를 중단하기도 했다.


한편 한방약에 이어 소화제(8.3%), 피부질환제(7.8%), 감기약(5.2%), 치과구강용약(4.9%), 비타민제(3.5%), 진통제(3.4%), 위장약(3.4%), 진해거담제(2.5%) 등 대부분 의약품 가격들도 상승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578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025년 의료계 신년하례회 개최…의협, 병협,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등 참석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로레알, 비보존, CJ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셀트리온, 펩트론, 한국애브비, GC녹십자웰빙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