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신약후보물질 ‘RCI001’ 쇼그렌 증후군 치료 효과 입증 - 고려대안암병원 김동현 교수
  • 기사등록 2024-10-23 05:40:03
기사수정

새로운 염증성 안구질환 치료제 ‘RCI001’의 쇼그렌 증후군 치료 효과가 입증됐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안과 김동현 교수팀은 환경성 건성안 동물실험을 통해 일주일간 매일 2회씩 RCI001과 PBS(인산 완충 용액, Phosphate-buffered saline)를 투여하고 안구 표면의 눈물 분비량과 결막 및 각막의 눈물샘 염증 상태와 면역 반응을 확인했다.


연구결과, 치료 1주일 후 RCI001을 투약한 그룹은 PBS 그룹보다 안구 표면 눈물 분비량이 더 많은 것을 확인했다(p-value < 0.05). 결막과 눈물샘에서의 염증을 유발하는 단백질(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IL-17)도 RCI001 그룹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p-value < 0.05), 면역체계에 부정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세포 손상도도(산화 스트레스 마커 4-hydroxy-2-nonenal, hexanoyl-lysine, NOX4) 적은 것을 확인했다.   </p>

김동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RCI001이 염증 유발 위험과 세포 손상도가 낮은 것을 확인했다.”라며, “평생 안구 치료제를 투여해야 하는 쇼그렌 증후군 환자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안과 및 각막 연구에 특화된 국제학술지(CORNEA) 9월호에 ‘Efficacy of RCI001 as a Therapeutic Candidate in a Primary Sjören Syndrome Mouse Model’라는 내용으로 게재됐다.


한편 쇼그렌 증후군은 침샘, 눈물샘 등에 만성적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으로 입마름, 건성안 발생이 특징적이다. 주로 고령에서 발생하는데 현재까지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어 대증적인 완화법이 사용되어왔다.


쇼그렌 증후군에서 유발되는 안구건조증을 치료하기 위해 인공눈물이나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Topical corticosteroids), 사이클로스포린 A(Cyclosporin A), 리피테그라스트(Lifitegrast)와 같은 항염증제가 활용되고 있지만, 효과가 제한적이거나 점안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스테로이드의 경우 장기간 사용 시 녹내장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새로운 치료제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387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국룬드벡, 한국다케다제약, 포트노바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메디톡스, 셀리드, 입센,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월 제약사 이모저모]비보존제약, 지씨셀, 노보 노디스크,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