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30대 젊은 성인 지방간지수와 급성심정지 상관관계 첫 규명 - 고려대안암병원 최종일, 정주희, 임선영 교수, 숭실대학교 한경도 교수팀
  • 기사등록 2024-09-26 23:50:03
기사수정

그동안 젊은 성인에서의 급성심정지의 위험인자가 정립된 바가 없는 가운데 20~30대 젊은 성인에서 지방간이 있을 경우 급성심정지 위험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됐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최종일 교수팀(순환기내과 최종일, 정주희 교수, 소화기내과 임선영 교수,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검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09년 부터 2012년 사이에 검진을 받은 20~39세 성인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BMI, 허리둘레, GGT, 중성지방수치를 통해 지방간지수를 계산하여 지방간의 유무를 파악했다.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은 지방간지수가 30미만일때 정상, 60이상일때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교수팀이 약 539만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그중 15.5%가 중등도(30이상~60미만), 10%가 고도(60이상)의 지방간지수를 보였다.


대상자들의 평균 9.4년간의 데이터를 추적연구한 결과, 지방간지수가 중등도인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급성심정지의 위험도가 15% 증가했다.  


지방간지수가 고도인 그룹에서는 위험도가 55% 급격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상관관계가 규명됐다.


최종일 교수는 “20~30대 젊은 성인 10명 중 1명이 고도의 지방간지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의 급성심정지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라며, “기본적으로 젊은 성인이 노인보다 급성심장사 발병율이 훨씬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젊은 성인에서의 지방간과 관련한 급사는 중요한 보건학적 문제로 인식해야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급성심정지위험의 직접적인 증가 뿐 아니라 지방간질환이 심정지의 공통위험인자인 대사증후군과 심혈관질환 발병 및 진행의 위험성을 증가시켜 급성심정지위험도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었을 것이다.”라며, “지방간질환이 있다면 해당질환과 더불어 대사 및 심혈관질환과 관련하여 추적관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젊은 성인에서 지방간지수로 예측되는 MASLD에 따라 급성심장사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을 최초로 확인했으며, 세계적으로 최대 규모의 연구다. 


이번 연구결과는 ‘Metabolism - Clinical and Experimental (2023년 JCR IF: 10.8)’에 ‘Association of Fatty Liver Index with Sudden Cardiac Arrest in Young Adults’라는 내용으로 게재됐다.


한편 비알콜성 지방간질환(대사이상 지방간질환 : MASLD)은 인구 약 25%에서 발생할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비알콜성 지방간은 간 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이나 사망과도 연관이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346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