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보건복지분야 상반기 규제혁신 추진 상황 점검 및 추가 과제 발굴 현황은? - 보건복지부, 제3차 보건복지 규제혁신 TF 개최
  • 기사등록 2023-07-17 23:57:04
기사수정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가 17일 ‘2023년도 제3차 보건복지 규제혁신 TF’를 개최해 규제혁신 과제의 올해 상반기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추가과제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또한 장애인등록증 선불형 교통카드 기능 도입, 장사법 위반 이행강제금 기준 완화 등 규제혁신 과제 8개도 추가됐다.


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동안 미혼부 자녀 복지지원 강화, 공공 심야약국 법제화 등 총 52개 과제(40.9%)를 개선 완료했고, 72개 과제(56.7%)는 정상추진 중이다. 


또한 국회에서 의료법 개정을 논의 중인 비대면진료 제도화 등 3개 과제는 개선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규제개선 성패를 좌우하는 규제집행 현장인 지방자치단체와 협력 및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지자체의 개선 건의사항 접수, 시·도 국장회의, 현장 간담회 등을 실시하고, 국민들의 규제개선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국민생활에 파급력이 큰 규제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해 블로그, 유튜브, SNS 채널 등을 통해 대국민 홍보도 강화하고 있다.


복지부 김헌주 기획조정실장은“오늘 논의를 통해 12개의 신규과제를 발굴한 것과 같이 국민 생활의 질을 높이고 경제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규제혁신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규제혁신의 성패를 좌우하는 국민 체감도 제고를 위해 대국민 홍보도 적극 실시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복지부 정책기획관은 “국민 생활의 질을 높이고 경제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규제혁신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윤석열 정부의 강력한 규제혁신 추진방향에 따라 지난 2022년 6월 21일 ‘보건복지 규제혁신 TF’를 구성해 규제개선 과제의 적극 발굴 및 신속한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의 경우 6월 말 기준 총 127개의 과제[규제정비종합계획(‘23.2.28 국무회의) 107개, 바이오헬스 신산업 규제혁신 방안(’23.3.2) 20개 과제]를 발굴했다.


관련하여 보건의료분야(▲필수의료 분야 공공정책 수가 지원, ▲경제성 평가 자료제출이 생략되는 약제 범위 확대, ▲진료비 확인 요청 제도 신청서 제출서류 간소화, ▲공공·지역 병원의 전공의 수련기반 강화, ▲영양플러스 대상자 선정기준 정비, ▲진료기록보관 관련 첨부서류 제출 완화, ▲소아용 저함량 생물의약품 함량산식 예외 적용, ▲첨단재생의료 실시기관 지정 신청대상 확대,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개방 확대, ▲지역장애인 구강진료센터 설치·운영 위탁 대상 기관 기준 완화, ▲구강보건센터 장비 기준 완화, ▲공공심야약국 법제화, ▲미혼부 자녀 건강보험 자격 취득 절차 간소화, ▲이·미용업 영업자의 사망 후 승계 시 문제점 개선, ▲공중위생 영업 재창업 규제 완화, ▲공중보건 장학제도 활성화, ▲은퇴의사 공공병원 활용기반 마련) 등 2023년 보건복지 규제혁신 완료 과제 요약(6월 말 기준) 내용과 보건복지 규제혁신 추가 발굴 과제(8개)은 (메디컬월드뉴스 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5652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월 제약사 이모저모]비보존제약, 지씨셀, 노보 노디스크,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월 18일 병원계 이모저모⑤]성빈센트, 아주대, 중앙대광명, 서남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국로슈, 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