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응 주체에 대한 신뢰도 평가결과 방역당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국회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및 향후 신종감염병 유행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서울대 유명순 교수팀이 개발한 설문을 기반으로 전국 성인 1,000명 대상 웹조사(95% 신뢰수준에서 ±3.1%p), 한국리서치 조사수행(’23.2.20.∼22.)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신종감염병 및 코로나19 전망’을 묻는 질문에 “향후 10년 내 또 다른 신종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을 예상한다”는 대답이 91.5%로 응답자 대다수가 신종감염병 유행 가능성을 전망했다.
이어 10명 중 7명 이상(72%)이 “국내에서 코로나19 유행이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다”고 답했다.
코로나19의 위험성 수준과 관련해 10명 중 6명 이상(61.5%)은 “작은 위협이다”고 응답했다.
◆신종감염병 유행 대비 및 대응 역량 평가
‘신종감염병 유행 대비 및 대응 역량’을 평가하는 문항에서 응답자들은 정부의 지난 코로나19 대응 국가역량 중 ▲‘정보제공과 소통(52.0%)’ 분야, ▲진단검사・역학・격리 등 ‘공중보건 체계 역량(50.9%)’ 분야 순으로 대응 역량이 잘 발휘되었다고 응답했다.
반면 ▲감염병의 정치화 방지 및 과학적 대응을 강조하는 ‘정치사회적 역량(36.0%)’, ▲백신·치료제 개발 등 ‘생명과학기술 연구개발 역량(35.9%)’, ▲국민의 불안·공포를 예방하는 ‘심리방역 역량(33.0%)’ 은 미흡했다고 평가했다.
(표)코로나19 정부 대응 역량에 대한 평가
◆또 다른 신종감염병 유행 대비를 위해 강화해야 할 항목
향후 ‘또 다른 신종감염병 유행 대비를 위해 강화해야 할 항목’으로는 ▲‘생명과학기술 연구개발 역량(51.1%)’을 가장 많이 응답해 우선적으로 강화가 필요한 분야에 대한 국민 인식을 확인했다.
코로나19 대응 시, 비용 효과가 컸다고 인식한 조치에 대한 ‘주관적 코로나19 조치 비용-효과성’ 평가 문항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76.7%)’ 조치가 가장 비용-효과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이어 ▲‘감염(확진) 환자 격리 의무화(49.6%)’, ▲‘해외출입국 검역절차 강화(31.7%)’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신종감염병 유행 시 방역 조치 수용 의향
향후 신종감염병 유행 시 방역 조치 수용 의향도 함께 조사한 결과, 코로나19 비용 대비 효과가 컸다고 생각하는 방역조치와 동일한 순서로 조사됐다.
‘코로나19 백신 예방 접종’ 과 관련해 공공의 이익과 집단 면역을 위해 백신접종이 필요하다는 국민인식도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공공의 이익이 더 큰 경우 개인에 접종 증명·검사음성확인서 등의 요구를 검토하거나 도입할 수 있다”는 문항에 85.3%가 동의했다.
이어 “코로나19 백신접종을 통한 면역 형성은 가장 효과적인 코로나19 대응 수단이었다”는 문항에도 응답자 79.8%가 동의했다.
다만 “백신 접종은 어떤 경우에도 강요될 수 없다”는 의견이 과반(71.0%)을 넘어, 개인의 자율성 역시 보장해야 한다는 인식을 보였다.
◆국민 신뢰 높이기 위한 방안
보건 당국이 백신 접종 추진 시, 국민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는 ▲‘투명한 정보제공과 소통(77.1%)’, ▲‘접종 피해 지원대책(59.8%)’, ▲‘이상반응 경험에 공감하고 이해하려는 정책 반응성(54.5%)’을 강화할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미래 신종감염병이 다시 유행하게 될 경우 ▲‘신종감염병 방역참여 및 위기 극복 인식’을 물었을 때, 응답자의 95.3%가 ‘감염 예방 행동(손씻기 등)을 적극적으로 할 것’이라 답했고, ▲‘방역 활동(검사·격리 등)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는 응답도 91.6%로 높게 나타났다.
▲‘우리는 감염병 위기를 효과적으로 극복해 낼 것’이라는 응답도 92.1%로 나타나 우리 국민들의 높은 위기 극복 의지가 확인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