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8월 3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전국, 수도권 ‘중간’, 비수도권 ‘높음’ 평가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결과
  • 기사등록 2022-08-24 04:00:03
기사수정

8월 3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가 전국, 수도권이 ‘중간’, 비수도권이 ‘높음’으로 평가됐다. 

이는 전체 확진자 및 60세 이상 확진자 증가와 위중증·사망자의 증가세가 지속되고, 비수도권의 60세 이상 확진자 증가로 의료대응역량 부담 우려가 반영됐다.

(표)8월 3주차 종합평가 결과

◆감염재생산지수 8주 연속 1이상 유지 중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에 따르면 8월3주 코로나19 주간 확진자가 전주 대비 4.8% 증가해 일평균 12.7만 명 대가 발생했다.

8월 3주(8.14.~8.20.) 주간 확진자 수는 89만 3,252명,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12만 7,607명이다. 

감염재생산지수(Rt)는 1.06로 지난 주 1.18 대비 0.12 감소했지만 8주 연속 1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60대 이상 고위험군 비중 증가세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고, 60대 이상 고위험군의 비중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발생률은 0-9세(292.6명), 20-29세(288.9명), 10-19세(279.6명)의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감염취약시설에서 발생 증가와 3차 접종 후 시간 경과 등 영향으로 중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와 비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표)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누적 사망률…80세 이상>70대>60대 순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8월 3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는 463명으로 전주 대비 2.9% , 사망자는 414명으로 전주 대비 25.5% 증가했다.

8월 13일 기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50.3명(치명률 0.12%)이다.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724.3명(치명률 2.38%)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61.3명(치명률 0.55%), 60대는 42.6명(치명률 0.14%)으로 나타났다.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자 93.5% 60대 이상

8월 3주 사망자의 93.5%(387명)가 60대 이상이었으며, 세부적으로는 80대 이상이 57.5%(238명), 70대가 24.6%(102명), 60대가 11.4%(47명)이다.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치명률 여전히 높아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주간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의 비율은 29.7%(115명)로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중환자 병상가동률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주 대비 증가했고,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주와 유사한 수준이지만 소폭 감소했다.

(표)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정부는 “개학에 따른 학교 내 감염확산에 대비하여 학교 방역관리 기본방향을 수립하고, 기본방역수칙 강조, 지속가능한 예방관리, 감염취약학생 관리 등 학교 상황에 맞는 방역관리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며, “일상회복을 지속하기 위해 확진자 증가 시에도 대면수업은 유지하되, 코로나19 감염 위험도를 높일 수 있는 비교과 활동 혹은 필수교육과 직접 관련성이 낮은 체험활동, 야외수업 등은 최대한 자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어 “등교 전 증상이 있는 경우, 등교(출근)하지 않고 자가진단앱에 증상여부를 입력하고 검사를 실시한다”며, “검사 결과 음성이면 등교(출근)가 가능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의료기관에에서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확진자 발생 시, ‘같은반 고위험 기저질환자’는 필요시 학교장 확인서 첨부 후에 보건소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고위험군과 함께 거주하는 사람이 의심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집 안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고, 고위험군과의 대화와 식사를 최소화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5147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