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9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16주차) 분석결과가 발표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에 따르면 전체 예방접종 1,794만 3,723건 중 이상반응은 6만 6,395건(16주 신규 신고건수 7,067건)이 신고돼 신고율은 0.37%이다.
◆신고 사례 중 95.0% 일반 이상반응
신고 사례 중 95.0%(6만 3,092건)는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 사례였다. 나머지 5.0%(3,303건)는 사망(293건, 0.4%), 아나필락시스 의심(397건, 0.6%) 등 중대한 이상반응 사례였다.
신고율은 성별로는 여성(0.5%)이 남성(0.2%)보다 더 높았고, 연령대로는 18-29세(0.81%)에서 가장 높고, 75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0.21%)
백신 종류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45%, 화이자 백신 0.22%, 얀센 0.32%였다.
◆6월 21일 0시 기준 신규 이상반응 신고사례 3,280건
6월 21일 0시 기준 신규 이상반응 의심 신고된 사례는 3,280건이다.
이 중 3건은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신경계 이상반응 등 97건, 사망 사례 8건이 신고됐다.
대부분은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의 사례였다.
◆사망자…아스트라제네카 117명, 화이자 175명, 얀센 1명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신고 된 사망자 현황(신고당시 기준)은 293명(1.63명/10만 건 접종)이며, 아스트라제네카 117명(1.04명/10만 건 접종), 화이자 175명(3.11명/10만 건 접종), 얀센 1명(0.09명/10만 건 접종) 이었다.
화이자 백신 접종자에서 이상반응 사망신고가 많은 것은 접종 대상자가 75세 이상 어르신, 노인시설 입소자 등 고령층인 것으로 분석된다.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접종 초기에 비해 점차 낮아지는 추세이다.
◆연령 낮을수록 2차 접종 후 신고율 높아
백신 접종 차수별 이상반응 신고율은 화이자 백신은 1차보다 2차 접종 후 신고율이 높았고(1차 0.19%, 2차 0.25%), 아스트라제네카는 1차보다 2차 접종 후 신고율이 낮았다.(1차 0.47%, 2차 0.18%)
두 백신 모두 연령이 낮을수록 2차 접종 후 신고율이 높은 양상이었다.
◆안전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위한 이상반응 대응 방법은?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발생 및 조치를 위해 모든 접종 완료자는 예방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 발생시 의사 진료 받아야
접종 부위는 항상 청결히 유지하고, 동시에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며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어르신은 예방접종 후 증상 발생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혼자 있지 않도록 다른 사람이 함께 있는 것을 권고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의 국소반응이나,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구토 등의 전신반응이 흔히 발생하지만 대부분 수일(2∼3일) 내 증상이 사라진다.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는 차가운 수건을 접종 부위에 대거나 발열, 두통, 근육통 등은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39도 이상 고열이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로 심해지거나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만일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의심 증상시…즉시 의료기관 진료 필수
아데노바이러스벡터 코로나19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접종 후 다음과 같은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의심증상이 나타난 경우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고, 해당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신속히 이상반응 신고를 해야 한다.
(표)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의심증상
◈ 아데노바이러스벡터 코로나19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접종 후 4일에서 4주 사이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 접종 후 4일에서 4주 사이에 ▲심한 또는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 발생, 구토 동반, 시야 흐려짐 등의 증상,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및 팔다리 부기, ▲접종부위 외 멍이나 출혈 증상 등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