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세계 2위 수준 - 2019년 연구개발(R&D) 투자(정부+민간) 총 89조원
  • 기사등록 2021-01-17 01:08:40
기사수정

한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64%로 세계 2위 수준으로 조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가 지난 2019년 국내에서 수행한 정부·공공, 민간분야의 연구개발 활동(연구개발비, 연구개발인력 등)을 조사한 ‘2019년 연구개발활동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2019년도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세계 5위 수준
이번 조사결과 2019년도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는 전년 대비 3조 3,184억원 (3.9%↑) 증가한 89조 471억원(764억달러)이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세계 5위 수준(1위 미국, 2018년 기준 5,816억달러)으로 조사됐다.
국내 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전년 대비 0.12%p 증가한 4.64%로 세계 2위 수준(1위 이스라엘, 2018년 기준 4.94%)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를 제외한 OECD국가 통계는 2018년 기준으로 향후 해외 국가별 2019년 통계 발표에 따라 국가순위가 달라질 수 있다.

▲분야별 연구개발비…민간>>정부・공공>외국 순
분야별 연구개발비를 살펴보면, 재원별 연구개발비는 정부・공공 19조 995억원(21.4%), 민간 68조 5,216억원(76.9%), 외국 1조 4,300억원(1.6%)으로 민간 비중이 높은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부·공공재원 대 민간·외국재원 비중이 21:79로 전년과 동일했다.
▲2019년도 민간재원 전년대비 2조 8,188억원 증가
2019년도 민간재원은 전년대비 2조 8,188억원(4.3%↑)증가한 68조 5,216억원(76.9%)이다. 총 연구개발비 증가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됐다.
국제비교 시에도 민간재원 연구개발비 비중은 76.9%로 일본을 제외한 주요국[민간재원 비중(2018년): 일본 79.1%, 중국 76.6%, 독일 66.0%, 미국 62.4%, 영국 54.8%]들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연구개발비 사용주체별…기업체>공공연구기관>대학 순 
연구개발비 사용주체별로는 기업체 71조 5,067억원(80.3%), 공공연구기관 10조 1,688억원(11.4%), 대학이 7조 3,716억원(8.3%)순으로 기업체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개발 단계별…개발연구>응용연구>기초연구 순
연구개발 단계별로는 기초연구 13조 623억원(14.7%), 응용연구 20조 401억원(22.5%), 개발연구는 55조 9,446억원(62.8%)으로 개발연구 비중이 가장 높았다.


◆기업부문 연구개발비 집행…’벤처기업, 서비스업‘ 급상승 
기업부문은 2018년까지 이어진 2년간 투자 및 연구개발비 집행의 상승세가 둔화됐다.
연구개발비 집행은 기업유형별로는 ’벤처기업‘, 산업별로는 ’서비스업‘ 비중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체 연구개발비는 전년대비 2조 6,722억원(3.9%↑)증가한 71조 5,067억원(80.3%)으로, 전체대비 비중 80% 이상을 계속 유지했다.
기업 유형별[대기업(62.5%), 중견기업(14.2%), 중소기업(11.2%), 벤처기업(12.1%)]로는 대기업이 44조 6,658억원(62.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벤처기업이 높은 증가율[전년대비 증가율(%): 대기업(1.9%), 중견기업(6.2%), 중소기업(6.9%), 벤처기업(9.1%)]을 보이면서 총액으로 중소기업을 상회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연구개발비가 62조 5,550억원(87.5%), 서비스업은 전년대비 1조 3,475억원(21.6%↑) 증가한 7조 5,823억원(10.6%)으로 서비스업의 증가율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인력…상근상당 연구원, 세계 5위 수준 

2019년도 총 연구원 수는 전년대비 2만 3,966명(4.7%↑) 증가한 53만 8,136명이다. 이 중 상근상당 연구원(FTE, Full Time Equivalent : 연구개발 업무에 전념하는 정도에 따른 비율을 반영하여 산정한 연구원 수) 수는 2만2,320명(5.5%↑) 증가한 43만 690명으로 세계 5위 수준(우리나라를 제외한 OECD국가 통계는 2018년 기준으로 향후 해외 국가별 2019년 통계 발표에 따라 국가순위가 달라질 수 있음)이다.

실제 경제활동인구 천명당 연구원 수(FTE 기준)는 15.4명(0.7명↑), 인구 천명당 연구원 수(FTE 기준)는 8.3명(0.4명↑)으로 주요국들보다도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기업체 연구원수, 최다 증가폭 기록
연구수행 주체별 연구원 수는 기업체 38만 7,448명(72.0%), 대학 11만 619명(20.6%), 공공연구기관 4만 69명(7.4%)이 연구개발활동을 수행했다. 기업체에서 전년대비 증가인원이 1만 9,211명(5.2%↑)으로 가장 많은 증가폭을 보였다.
▲연구원 1인당 사용한 연구개발비…주요 선진국 대비 낮은 편
우리나라 연구원 1인당 사용한 연구개발비(FTE 기준)는 전년대비 317만원(1.5%↓) 감소한 2억 675만원이다. 
US달러로 환산 시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는 17만 7,396달러로 중국(15만 9,386달러)과 영국(16만 1,743달러)를 제외한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는 낮은 편으로 조사됐다.
▲최근 10년간 여성연구원 비중 증가…주요 선진국 대비 낮아
여성 연구원은 전년대비 8,459명(8.1%↑) 증가한 11만 3,187명(21.0%)으로, 최근 10년간 여성연구원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 중이다.
하지만 일본을 제외한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들[여성 연구원 비중(2018년): 러시아 39.2%, 영국 38.6%, 독일(2017년) 27.9%, 프랑스(2017년) 28.3%, 일본 16.6%]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과는 “2021년 1월 중 주요통계가 포함된 보고서를 발간하여, 연구기관, 연구자 및 일반 국민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국가통계포털(KOSIS) 등을 통해 공개하고, OECD에 송부하여 국가 간 비교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개발 활동조사란 과학기술기본법 제26조의2에 따라 1963년에 최초 실시된 이래, 매년 시행하고 있는 과학기술 통계조사이다.
2019년 기준 국내 67,095개 기관(공공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을 대상으로 연구개발비, 연구개발인력 현황 등을 OECD 가이드라인(프라스카티 매뉴얼)에 따라 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관련 정책에 활용하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987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11~1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비보존, 제일약품, 한국노바티스, 현대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1~12월 제약사 이모저모]듀켐바이오, 듀켐바이오, 제일약품, 한국로슈, 휴온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1~1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비보존, 제일약품, 휴온스, GC녹십자 등 소식
pt>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