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최근 5년간 가을철 ‘병원성대장균, 노로바이러스’식중독 증가‘주의’ -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등 준수가 중요
  • 기사등록 2019-09-06 00:58:47
기사수정

최근 5년간(2014~2018년) 계절별 연평균 식중독 발생건수를 분석한 결과, 가을철(9~11월)이 95건으로 여름철(6~8월) 113건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 최근 5년간(2014~2018년) 가을철 원인균별 식중독 발생건수를 분석한 결과,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28%,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14% 증가해 해당 식중독균에 대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가을철 식중독 예방을 위해 조리식품 보관·섭취 및 개인위생에 각별한 주의를 강조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예방법은?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주로 분변에 오염된 물, 오염된 용수로 세척한 채소, 도축 과정에서 오염된 육류 등에 통해 이뤄진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씻기를 철저히 하고, 가금류, 수산물, 육류 세척 시 주변에 날로 섭취하는 채소, 과일 등에 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 채소류는 물로 3회 이상 세척하고, 절단 작업은 반드시 세척 후 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법은?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과 물을 섭취했거나, 환자 접촉을 통한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장실 사용 후, 귀가 후, 조리 전에 손 씻기를 생활화해야 한다. 특히, 노로바이러스는 입자가 작고 표면 부착력이 강하므로 30초 이상 비누나 세정제를 이용해 손가락, 손등까지 깨끗이 씻고 흐르는 물로 헹궈야 한다. 

또 조리음식은 중심온도 85℃에서 1분 이상 익혀야 하며, 채소·과일은 깨끗한 물로 세척한 후 섭취해야 한다. 

식약처 식품소비안전국 식중독예방과는 “가을에도 음식물 취급과 섭취에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식중독 없는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식중독 예방을 위해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등 식중독 3대 예방요령을 항상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233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씨월드, 셀트리온, 온코닉테라퓨틱스,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