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총지출은 72.5조원으로 부처 2위, 소관법령 316개로 3위 규모인 만큼 사회복지와 보건의료분야로 나누어 복수차관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더불어민주당, 송파구병)의원은 지난 18일 보건복지부 업무보고에 대한 질의를 통해 “보건복지부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다함께 잘사는 포용적 복지국가’실현을 위해 부처 역량을 집중해왔으며,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의 핵심이 보건복지부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며, “조직 보강 및 인력 확충이 필요하고, 사회복지와 보건의료 분야를 각각 총괄하는 복수차관제를 운영할 필요성이 높다”고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의 견해와 대책을 물었다.
특히 보건복지부 소관 예산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직 및 인력 보강은 매우 늦은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보건복지부 소속 공무원들의 업무량 과부하가 심화되고, 육아휴직 등에 대한 대체인력을 적시에 확보하지 못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조직규모로 볼 때 2018년말 기준 4실 6국 801명, 정원기준으로 부처 내 6위로, 복수차관 운영부처와 비교시 유사하거나 큰 실정이다.
재정규모도 2019년 총지출 72.5조원으로 교육부 이어 2위이지만 교육부의 지방재정교부금을 제외하면 실제 집행을 고려할 때 부처 1위이고, 보건복지부의 소관 법령은 총 316개로 국토부와 행정안전부에 이어 3위이며, 차관 1인이 19개 정부위원회의 당연직 위원장도 맡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외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등은 복수차관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행정안전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본부 내 차관급 기구를 운영하고 있다.
남 의원은 “이런 상황으로 인해 보건복지부가 정부 부처 내 기피 부처가 되고 있다”며, “조직 보강과 인력 확충, 사기진작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보건복지부는 사회복지와 보건의료 분야를 각각 총괄하는 복수차관제를 운영할 필요 높다”며, “보건복지부 복수차관제 도입을 위한 정부조직 개편을 건의할 것”을 촉구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