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긴급구조용 지능형 정밀측위 기술개발’ 착수…4년 총 201억 투입 - 신속·정확한 위치파악으로 긴급구조 골든타임 확보
  • 기사등록 2019-02-04 09:00:01
기사수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 경찰청(청장 민갑룡), 소방청(청장 정문호)이 범죄·재난 상황에서 구조 요청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다부처 협력 사업‘긴급구조용 지능형 정밀측위 기술개발’을 착수한다고 밝혔다.

그 동안 긴급한 범죄·재난 상황에서 경찰/소방인력이 신속하게 현장으로 출동했지만 구조 요청자의 위치 파악이 부정확하여 구조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례가 있었다.

112 또는 119로 구조를 요청할 경우 긴급구조시스템을 통해 파악된 구조요청자의 위치 범위는 100m 이상 차이가 나고 실내 위치를 파악하는 정확성도 미흡했다.


이에 지난 2018년 다부처 협력 연구개발 사업으로 기획했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4년) 총 201억원을 투입하여 연구개발과 실증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과기정통부는 ① 기존 2차원(평면) 위치정보만 나타내는 기술을 3차원(높이)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하고, ② 인공지능기술을 접목한 정밀측위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실외는 물론 실내 위치 정밀도까지 높여, 50m 이하로 위치측정 오차 범위를 줄인다. 또 ③ 그동안 긴급구조 측위가 안되었던 단말(알뜰폰, 자급제폰, 키즈폰, 유심이동폰 등)도 측위가 가능하도록 연동표준을 개발하여 긴급구조 측위 사각시대를 해소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경찰청은 ① 전국 단위의 긴급구조용 지능형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측위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과기정통부에 제공, ② 현장에서 LTE 신호세기 및 시간지연정보로 거리를 측정하는 정밀측위 기술을 개발하고 ③ 112 신고 시스템과 연계한 실증 시험을 추진한다. 


▲소방청은 ① 화재 등으로 재난현장 건물 내 기존 무선통신 인프라(WiFi, 비콘 등) 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소방용 전용 단말기를 통해 자체적으로 소방대원과 실내 요구조자의 측위 정보를 확보하는 기술 개발 ② 119 신고 시스템과 연계한 실증 시험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다부처 간 원활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R&D전문기관인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참여하는 사업추진 협의체를 구성하여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의 주요 사항을 긴밀히 협의하여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이 사업은 국민, 경찰, 소방관 등 수요자가 직접 참여하여 현장문제를 해결하는 리빙랩(Living Lab) 방식으로 추진하여 연구 성과물의 완성도를 높여 활용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며, “정보통신 기술이 공공안전 및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여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과제 공모기간은 1월 21일부터 2월 20일까지이며, 과제내용 및 접수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과기정통부), (경찰청), (소방청)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937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존슨앤드존슨,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1일 병원계 이모저모④]국립암센터, 동탄성심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6월 제약사 이모저모]비보존, 베이진,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