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대수명 생존시 암 유병확률…남 5명 중 2명, 여 3명 중 1명 - 남성-전립선암, 여성-유방암 증가 주목 - 암 유병자 중 절반 이상, 암 진단 후 5년 이상 생존
  • 기사등록 2018-12-29 00:17:27
기사수정

기대수명까지 생존시 암 유병확률은 남성의 경우 5명 중 2명, 여성은 3명 중 1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암 유병자 중 절반 이상이 암 진단 후 5년 이상 생존했으며, 남성의 경우 전립선암, 여성은 유방암 증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원장 이은숙)가 지난 27일,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을 통해 수집된 우리나라 2016년 국가암등록통계를 발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국가암등록통계는 암관리법에 의해 매년 의료기관의 진료기록을 바탕으로 암환자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전전년도의 암발생률, 생존율, 유병률 등을 산출하고 있으며, 국가 암관리정책 수립 및 국제비교의 근거자료로 활용된다.


◆ 2016년 국가암등록통계 주요 내용

▲유방암, 전립선암, 자궁체부암 증가 vs 간암, 자궁경부암 감소  

2016년 새로 발생한 암환자 수는 22만 9180명(남 12만 68명, 여 10만 9112명)으로, 2015년도(21만 6542명)에 비해 1만 2638명(5.8%) 증가했다.

특히 유방암 2,538명(13.1%), 전립선암 1,496명(14.5%), 자궁체부암 349명(14.4%)이 증가했고, 간암 103명(0.6%), 자궁경부암 50명(1.4%)은 감소했다. 

2015년과 마찬가지로 2016년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위암이었으며, 이어서 대장암, 갑상선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2015년과 비교했을 때 남성의 경우 전립선암이 간암을 제치고 4번째로 많이 발생했고, 여성의 경우 유방암이 암발생 1위를 차지하면서 2005년 이후 11년간 여성 암발생 1위였던 갑상선암이 2위로 하락하는 순위 변동이 있었다.

남성의 경우 위암,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 간암, 갑상선암 순이었고, 여성의 경우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위암, 폐암, 간암 순이었다. 

(표)2016년 주요 암종의 진단 후 경과 기간별 암유병자수 

▲암발생률…2011년 이후 매년 3.0%씩 감소 

인구 10만 명 당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은 286.8명으로 전년대비 8.6명(3.1%) 증가했다.

암발생률은 1999년 이후 2011년까지 연평균 3.8%씩 증가하다가, 2011년 이후 매년 3.0%씩 감소해왔다.   

다만, 유방암은 1999년 이후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반면 위암, 대장암, 갑상선암, 폐암(남자),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최근 감소 추세를 보였다.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269.0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300.3명)보다 낮은 수준이다.


▲5대암생존율…미국, 캐나다, 일본 등에 비해 높아  

최근 5년간(2012-2016)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은 70.6%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10년 전(2001-2005)에 진단받은 암환자의 생존율(54.0%)의 1.3배(16.6%p 증가) 수준이었다.

갑상선암(100.2%), 전립선암(93.9%), 유방암(92.7%)의 생존율이 높았으며, 간암(34.3%), 폐암(27.6%), 췌장암(11.0%)의 생존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약 10년 전(2001~2005) 대비 생존율이 10%p 이상 상승한 암종은 위암 18.0%p(75.8%), 간암 13.9%p(34.3%), 전립선암 13.5%p(93.9%), 폐암 11.1%p(27.6%)이었다.

국가암검진사업 대상 암종인 5대암(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의 2012-2016년 생존율은 미국(2008-2014), 캐나다(2006-2008), 일본(2006-2008) 등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었다.


(표)남녀별 5년 상대생존율: 2012-2016 

▲암유병자…갑상선암>위암>대장암>유방암 순  

암 확진 후 현재 치료 중이거나 완치된 암유병자 수(1999년 이후 암발생자 중 2017년 1월 1일 생존이 확인된 사람)는 약 174만 명이며, 우리나라 국민 전체의 3.4%를 차지했다.

암종별로는 남녀 전체에서 갑상선암(37만9946명)의 유병자수가 전체의 21.8%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위암(27만3701명), 대장암(23만6431명), 유방암(19만8006명), 전립선암(7만7635명), 폐암(7만6544명) 순이었다.

암진단 후 5년 초과 생존한 암환자는 91만6880명으로, 전체 암유병자의 절반 이상(52.7%)을 차지해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82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2%에 달했다. 


◆2019년, 암생존자 통합지지사업 강화 추진 

2019년에는 암 유병자 174만 명 시대에 대응해, 초기 암치료를 완료한 암환자와 가족의 건강관리 및 심리상담 등 종합적인 지원을 하는 암생존자 통합지지사업을 더욱 강화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업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중앙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를 지정하고 권역별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를 확대한다.(2018년 7개소→ 2019년 11개소)  

특히 소아청소년은 암의 발병양상, 진행경과, 지원 수요 등이 성인 암환자와 다르므로, 소아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한 암생존자 통합지지 시범사업기관(2개소)을 처음 선정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권역 호스피스센터 확대(2018년 3개소 → 2019년 8개소)와 소아청소년 호스피스 시범사업 확대(2018년 2개소 → 2019년 4개소)를 통해 늘어나는 호스피스 서비스에 대한 국민 수요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암조기검진을 통한 암사망률 감소를 위해 2019년 7월부터 국가암검진사업에 폐암검진을 새로 도입(만 54-74세 남녀 중 30갑년 이상 흡연력을 가진 흡연자 등을 대상으로 2년마다 저선량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CT)을 사용하는 폐암검진 실시)하고, 대장암검진 시 대장내시경검사를 1차 검사로 사용(현행 국가대장암검진은 분변잠혈검사(대변의 혈흔여부 검사)를 우선 시행하고 의심 소견자인 경우에만 대장내시경을 사용한 검진 시행)하는 시범사업도 실시할 예정이다.

또 분산되어 있는 암관련 데이터를 연계[진료정보(EMR)의 임상진료데이터, 종양영상데이터, 암 공공데이터 등]하여 암 예방·치료법 연구 및 암 관리 정책 효과성 제고에 활용하는 등 암관리 기반(인프라)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복지부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은 “암 조기검진, 치료기술 발달에 따라 암생존률이 높아진 것은 큰 성과이다”며, “암생존률 증가는 늘어나는 암생존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마련해야하는 과제도 안겨주었다”고 밝혔다. 

또 “2019년에는 그간 시범사업의 성과를 토대로 암생존자 통합지지사업을 본격화하는 등 국가암관리사업의 확대·강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그간 1차(1996∼2005년)·2차(2006∼2015년) ‘암정복계획’을 수립·추진해 국가 암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암치료율 향상, 암 전문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

2016년 9월에는 암예방, 조기검진, 암생존자 지원, 완화의료, 연구 등 암 관련 전 분야에 걸친 ‘제3차 암관리종합계획’(2016-2020년)을 수립·시행해오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882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1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쏘시오, 한국머크, 한국애보트, 한국BMS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1~1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메디톡스, 멀츠, 바이엘, 제일헬스사이언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비보존제약, 비씨월드제약, 암젠코리아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