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도입 병원 5개 중 1개, 일반병동 간호등급 하락 - 등급 하락 병원 중 45%, 기준등급인 6등급 이하까지 떨어져 - 간호등급 신고기관만 간호간병 참여 가능… 지침 유명무실
  • 기사등록 2018-10-20 14:50:10
기사수정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도입 병원 5개 중 1개가 일반병동 간호등급이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병원 전체 병동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도입한 32개소를 제외한 318개소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도입 전후의 일반병동 간호등급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이 일반병동 간호사 배치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분석 대상인 318개소 중 24개소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신청할 당시 간호등급이 ‘미신고’ 상태였으므로 간호간병 도입 전후의 간호등급 비교가 불가능하여 이를 제외한 294개소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무려 19%인 56개소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 후 일반병동의 간호등급이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신청 당시와 18년 1분기의 일반병동 간호등급 변화

이렇게 간호등급이 하락한 기관 중 기준 간호등급인 6등급 이하까지 떨어진 곳은 45%에 달하는 25개소였고, 이 중 12개소는 간호등급 미신고 상태로 전혀 관리가 되고 있지 않았다.


<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 후 일반병동 간호등급 하락한 의료기관 현황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 후 일반병동 간호등급이 하락한 56개소를 종별로 살펴보면, 종합병원급이 31개소로 가장 많았지만 기준등급 6등급 이하까지 떨어진 기관은 병원급(16개소)이 가장 많았다.


<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 후 일반병동 간호등급 하락한 의료기관 종별 분류

간호등급이 떨어졌다는 것은 병동 내 간호사 수가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간호등급을 신고하지 않은 의료기관은 7등급 이하로 간호사 1인당 환자수가 28명이 넘게 되어 환자는 충분한 간호를 받을 수 없고 궁극적으로 환자안전과 환자의 건강상태에까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렇게 간호간병을 도입한 후에 일반병동 간호등급이 떨어졌다는 것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필요한 간호사를 추가채용하지 않고 일반병동 간호사를 이동 배치했거나 일반병동 간호사는 사직해도 새로 채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입원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도입해놓고 이 때문에 일반병동 입원서비스 질이 떨어지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지침에는“일반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제공인력 구분관리를 위하여 일반병동의 간호등급 신고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기관 중 참여 신청 당시 간호등급 미신고 기관은 29개소로 이들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도입 전의 간호사 배치수준을 확인할 수 없어 비교조차 불가능한 상태였다.
다만 대다수의 현재 간호등급이 미신고 또는 7등급(최하등급)인 것을 보면 간호간병을 도입했을 당시보다는 간호사 배치수준이 하락했음을 유추할 수는 있었다.


<표> 간호간병 신청 당시 간호등급 미신고 기관의 현재 간호등급 (18년 1분기 기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희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천 소사)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평가·심의위원회에서 해당기관의 인력수급 상황 등을 심의 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렇게 간호등급이 미신고인 상태에서 어떻게 제대로 의료기관을 평가하고 심의했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간호사를 새로 채용하지 않고 기존 병동의 간호사를 배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일반병동의 간호서비스 질을 떨어뜨리고 환자안전에 악영향을 끼치는 등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도입한 목적에 반한다”고 밝혔다.


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도입이 일반병동 간호사 배치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고 간호등급이 심하게 떨어지는 경우에는 패널티를 부여하는 등의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며, “이제는 간호간병 참여기관을 늘리는 것에 집중하기 보다는 이미 참여한 기관을 중심으로 전 병상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접근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2017년까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도입한 의료기관은 총 350개소로 1개 병동 이상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운영중이다.
현행 의료법에 따르면 공공의료기관은 의무적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운영하도록 하고 있으며,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병원 의료질 평가 항목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실시 여부가 추가되면서, 민간병원도 앞 다투어 참여하는 추세다.


건강보험은 모든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간호등급제를 실시하고 있다. 간호등급은 총 7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등급분류기준은 간호사 1인당 담당 환자수로, 1등급은 12명, 2등급 12~14명, 3등급 14~16명, 4등급 16~19명, 5등급 19~21명, 6등급 21~28명, 7등급 28명 이상으로 각 등급별로 가감산제도를 운영 중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789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1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비보존제약, 비씨월드제약, 암젠코리아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셀트리온, 온코닉테라퓨틱스, 티움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024연말]기부와 봉사 이어져②…건보공단, 분당제생병원, 서울시병원회, 한국룬드벡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