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비타민 D 결핍 결핵 발생 위험요소, 비타민 D 복용 학생 키가 더 성장 - 제주대 배종면 교수팀, 관련 논문 8편 분석 결과, 3가지 결론 제시
  • 기사등록 2018-08-02 18:52:37
기사수정

비타민 D 결핍은 결핵 발생의 위험요소이며, 비타민 D 보충제는 안전하다는 분석결과가 제시됐다.


비타민 D 보충제는 안전하고 값이 싸고, 면역력 증강·키 성장 등 다양한 장점이 있으므로 시도해볼 가치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과 배종면 교수팀이 2017년 12월 말까지 결핵과 비타민 D의 관련성을 추적한 연구논문 8편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밝혔다.


배 교수팀은 기존 연구논문 8편을 검토한 뒤 3가지 결론을 내렸다.
첫째, 결핵발생자의 비타민 D 수준이 낮아, 비타민 D 결핍은 결핵 발생의 위험요소다. 둘째, 비타민 D 보충제 투여는 활동성 결핵의 치료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셋째, 비타민 D 보충제는 안전하다는 것이다.
기존 연구문헌을 통해 일반인이 비타민 D를 복용하면 결핵에 대한 면역력이 강해지고 비타민 D를 복용한 학생의 키는 더 컸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배 교수팀은 논문에서 ”기존 연구의 검토 결과 결핵이 초기감염→ 잠복성 결핵→활동성 결핵으로 진행하는 단계에서 비타민 D가 관여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며 ”비타민 D 보충제 투여는 결핵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비타민 D 보충제를 복용하면 잠복성 결핵의 활성화를 막는다는 가설을 완전히 입증한 논문은 찾지 못했다.


비타민 D는 햇볕을 받으면 피부에서 생성되는 ‘선 샤인 비타민’이다.
배 교수팀은 “일조량이 적은 겨울과 봄에 집중적으로 비타민 D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며, “특히 잠복성 결핵 양성인 학생 중 항(抗)결핵제 복용을 거부한 학생에게 우선적으로 비타민 D 보충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역학과 건강’(Epidemiology and Health) 최근호에 ‘고등학생의 잠복결핵 활성화 억제를 위한 비타민 D 보충제 투여’라는 내용으로 소개됐다.


한편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의 73.3%가 비타민 D 결핍 상태다. 비타민 D 보충제 투여는 면역력 증강 뿐 아니라 근골격계 대사를 위해서라도 필요하다는 것이 배 교수팀의 주장이다. 
항결핵제가 개발되기 전엔 간유·일광욕·비타민 D 투여 등이 활동성 결핵의 치료법으로 사용된 바 있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684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멀츠, 온코닉테라퓨틱스,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동화약품, 셀트리온, 한소제약, 현대ADM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