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병원(병원장 김건식) 소화기내과 최인주 전임의(지도교수 장영운)가 지난 6월 28일부터 2일 간 일본 오이타에서 개최된 제15회 한일 헬리코박터 공동학회에서 ‘표준 3제 요법에 유산균 또는 브로콜리 추출물 추가 치료가 헬리코박터 제균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Probiotics or Broccoli Supplementation on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with Standard Clarithromycin-based Triple Therapy)’라는 주제발표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이 연구는 1차 제균 치료의 대안으로 기존의 치료제에 유산균 또는 브로콜리에서 추출한 설포라판을 추가했을 때, 제균율 변화와 부작용 감소 여부를 알아본 연구다. 연구결과,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4제 요법(2차 제균 치료법)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최인주 전임의는 “헬리코박터균은 폐암의 담배처럼 위암의 주요 유발 요인으로 조기발견과 제균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1차 제균 치료의 대안이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다양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기회였다”고 밝혔다.
한편 위암의 원인으로 헬리코박터균이 주목받으면서 제균 치료의 중요성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시행되고 있는 1차 제균 치료(3제 요법)는 항생제 내성으로 제균율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