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의료연구소(이하 연구소)가 이대목동병원 사건에서 시트로박터 프룬디균 패혈증 원인으로 ‘장내 균 집락화’를 지목했다.
연구소는 “지질영양제가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사망 환아들의 장내 분변에서 공통적으로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이 배양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실제 부검 결과 환아들의 장내에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이 집락화되어 있었다.
연구소는 질병관리본부의 역학보고서에 제시된 부검 검체의 세균학적 검사결과에 일부 문제를 제기했다.
만약 12월 15일 투여한 지질영양제로부터 균이 혈액으로 퍼져나가 패혈증을 유발했다면, 혈액이 흐르는 소장과 대장의 조직에서는 균이 검출되고 장내의 분변에서는 검출되지 않아야 한다.
혈액 내를 돌아다니던 세균이 하루 만에 장점막 조직을 뚫고 장내로 이동하여 균 증식이 일어나 집락화를 형성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또 대장 조직에서는 4명 중 2명에서만 균이 검출된 반면, 4명의 환아 모두 소장과 대장의 분변에서 혈액에서 검출된 균과 유전형이 동일한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이 검출됐다.
연구소는 “지질영양제 오염에 의한 혈류감염이라는 질본의 주장이 맞지 않음을 잘 보여준다”며, “오히려 환아들의 장관 내에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이 이전부터 증식하여 집락화(colonization)되어 있다가, 장 점막의 보호장벽이 약해진 상태에서 혈액으로 이동(translocation)해 패혈증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더 설득력이 있다”고 밝혔다.
특히 국내외 논문을 검색, 분석한 결과 신생아중환자실 신생아에서 장내 균 집락화는 흔하게 발생하고, 그 중 대표적인 균이 그람 음성균이며, 내성 유전자를 가진 그람 음성균도 빈번하게 집락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소는 “따라서 이번 이대목동 사건에서 사망 환아 모두의 분변에서 그람 음성균이면서 항생제 내성균(ESBL)인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이 검출된 사실은 환아들의 장관 내에 이미 균의 집락화가 있었다는 뜻이고, 이 세균 집락화가 패혈증과 관련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며, “장내에 그람 음성균의 집락화는 패혈증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번 이대목동 사건처럼 장내에 집락화된 그람 음성균과 혈액에서 배양된 그람 음성균이 유전학적으로도 완전히 일치하는 세균으로 증명된 경우라면, 당연히 증거도 명확하지 않은 지질영양제의 오염을 원인으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장관 내에 집락화된 그람 음성균에 의해서 혈류감염이 일어났을 가능성을 먼저 생각했어야 한다. 이것이 의학적으로 합당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또 이대목동병원 사건에서 4명의 환아 모두 위장관 병변이라 할 수 있는 로타바이러스 장염이 있었고, 중심정맥관이 있었으며 기계환기 치료를 받았다. 4명 중 3명에서는 괴사성 장염이 있거나 의심 소견이 있었고, P4 환아의 경우 질식분만으로 출생했으며, 체중이 1kg이 되지 않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였다.
연구소에 따르면 결국 이러한 자료와 증거들을 종합해 볼 때 장관 내에 균 집락화가 형성되어 있던 4명의 환아들은 혈류감염 및 패혈증 발생의 위험이 높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연구소는 ▲분주 행위가 불법이 아님을 보건복지부도 인정한 사실 ▲의료진 형사처벌의 주요 증거인 지질영양제가 증거로서 가치가 없다는 사실 ▲의학적으로 패혈증 발생과 지질영양제 투여와는 시간적으로 인과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만큼 의료진을 형사 처벌할 수 있는 그 어떤 명분도 남아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최근 질본의 한 공무원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혈액 내에서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이 나온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하면서, 패혈증 발생의 원인으로 지질영양제를 지목한 자신들의 결정에 문제가 없다는 주장을 한 것은 질본이 시트로박터 프룬디균 패혈증의 다른 원인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관련 논문이나 문헌 분석도 하지 않았음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연구소는 문제를 제기했다.
연구소는 “이대목동병원 사건에서 신생아 패혈증은 지질영양제 오염에 의한 혈류감염이 아니라, 신생아 장관 내에 집락화되어 있던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이 장 점막을 뚫고 혈액 내로 이동하여 발생했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본다”며, “다시 한 번 이번 이대목동 사건에서 의료진들이 형사 처벌을 받는 것은 부당하며, 지금이라도 신생아 사망의 명확한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질본과 검찰을 비롯한 국가기관들의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