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임신여성과 만성질환자 10명 중 3명만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 서울대병원 임주원 교수팀, 국민건강영양조사 6만 1,036명 분석결과
  • 기사등록 2018-06-02 14:31:17
기사수정

국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이 노인과 소아는 약 75%인 반면, 임신여성과 만성질환자는 약 30%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병원 국제진료센터 임주원 교수팀이 지난 2005~2014년간 국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교수팀은 2005~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6만 1,036명을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나누고, 각 분류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 차이를 검토했다.


특정요인에 따른 분류는 크게 ‘성별’, ‘거주지역’, ‘교육수준’, ‘소득수준’으로 나눴다. 집단별 분류에서는 우선 일반집단과 취약집단으로 구분 후,취약집단은 다시 ‘65세 이상 노인’, ‘5세 미만 어린이’, ‘임산부’, ‘만성질환자(천식, 당뇨병 등)’로 나눠 분석했다.


이번 연구결과 해당기간 동안 총 대상자들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은 38.0%에서 44.1%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성별에 있어서는 남성 38.0%, 여성 42.7%로 여성이 높게 나타났고, 거주지역별로는 도시 38.2%, 비도시 49.3%로 시골지역이 높게 나왔다.


소득별로는 최저소득군 39.2%, 하위소득군 40.1%, 중위소득군 40.6%, 상위소득군 42.0%로 소득수준에 따라 비례하는 모습을 보였다. 교육수준에서는 9년 이하 53.7%, 10~12년 26.8%, 13년 이상 27.6%로 교육기간이 짧은군에서 높은 접종률을 보였다.


집단별 분류에서는 일반집단이 29.1%, 취약집단은 63.1%로 나타났다. 취약집단을 세부군별로 살펴보면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77.8%, 5세 미만 어린이 73.1%, 만성질환자 37.5%, 임산부 25.8%로 나타났다.

(그림. Vaccine지에서 발췌 수정)


이번 연구에서 65세 이상 노인과 5세 미만 어린이는 2010년 WHO가 권장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인 80%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지만 만성질환자와 임산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교수팀은 “이번 연구는 국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을 살펴보고, 지원 대상자 선정에 있어서 정책적 도움을 제시하기 위해 이뤄졌다”며, “이 같은 결과는 국가필수예방접종 대상자에 만성질환자와 임산부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국가필수예방접종 지원을 받는 65세 이상 노인에서는 소득수준이 예방접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지원을 받지 않는 일반집단과 만성질환자에서는 소득수준이 예방접종률을 증가시키는 결과가 나타난 점도 이를 뒷받침 해준다. 


임주원 교수는 “향후 효과적인 국가백신 정책을 위해서는 임신여성과 천식,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자에 보다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정책 실행에서는 “대상자 수를 고려했을 때, 임신여성은 65세 이상 노인 인구 대비 3-4%에 불과하지만, 만성질환자는 60%에 달한다”며, “적용범위를 임신여성으로 확대할 경우에는 큰 부담이 없지만, 만성질환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예산의 추가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그림, Vaccine지에서 발췌 수정)


한편, 백신은 가장 효과적인 인플루엔자 예방 수단이며, 특히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에게는 더욱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1997년부터 국가필수예방접종 프로그램에 저소득층 노인에 대한 인플루엔자 접종 지원이 포함됐고, 2005년부터는 65세 이상 노인 전체까지 범위가 확대 됐다. 하지만, 재원의 한계로 인해 여전히 지원이 필요한 대상이 남아있는 실정이다.


매년 계절성 인플루엔자 감염은 성인 5~10%에서 발생하고 있다. 2013~2014년 한국 성인 1,000명 중 2명이 인플루엔자에 걸렸고, 그 중 약 23%가 입원을 했다. 이에 따른 총 사회적 손실은 약1,375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594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멀츠, 온코닉테라퓨틱스,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동화약품, 셀트리온, 한소제약, 현대ADM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