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건강한 사람 심혈관질환 예측, 관상동맥석회화지수 검사로 가능 - 중앙대병원 조익성 교수팀 전 세계 17개 기관과 공동연구 결과
  • 기사등록 2018-05-10 22:40:01
기사수정

건강 검진시 관상동맥질환(심장혈관질환) 진단을 위해 시행하는 ‘관상동맥CT혈관조영술’보다 관상동맥석회화 지수 평가만으로도 충분히 심장혈관질환 진단과 예측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중앙대학교병원(병원장 김명남) 순환기내과 조익성 교수팀은 미국 뉴욕 프레스비터리안 병원(New-York Presbyterian Hospital)의 심장 영상 분야 대가인 미국 웨일코넬 의과대학(Weill Cornell Medical College) 제임스 민(James K. Min) 교수 및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혁재 교수 등과 함께, 전 세계 17개 기관과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관상동맥석회화지수 및 관상동맥CT 조영술을 함께 시행한 1,226명의 평균 연령 58세 무증상 성인 남녀를 6년간 추적 관찰했다. 


추적 기간 동안 일어난 심장혈관 관련 사망을 예측함에 있어, 관상동맥CT 조영술을 통해 얻은 정보들은 전통적 위험인자(연령, 성별, 당뇨병 여부 등) 기반 위험도 예측 모델 (C-statics 0.64)에 비해 예측력을 높일 수 있었지만 (C-statistics range 0.71?0.73, P< 0.05), 관상동맥석회화점수 모델(C statistics 0.71)에 비해 예측력을 유의하게 높이지 못했다. </p>


그 결과, 흉통이나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없는 성인에서 건강검진 목적으로 시행하는 ‘관상동맥CT조영술’ 기반 심혈관계 위험도 평가 방법이 기존 ‘관상동맥석회화점수’ 기반의 위험도 평가 방법에 비해 임상적 이득이 없음을 확인했다.


조익성 교수는 “흉통이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없는 사람의 경우, 기존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검사에 비해 방사선 피폭량도 많고, 조영제 신독성 혹은 과민반응 등 잠재적 위험성이 있는 관상동맥CT조영술을 심혈관계 위험도 평가 목적으로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증상이 없는 건강한 사람이 자신의 심혈관질환 여부에 대한 검진을 하고 싶다면 순환기내과 전문의와의 상담 및 진찰을 통하여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여부, 연령, 성별 등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 위험도 평가방법으로 심혈관계 사전 위험도를 산정한 후 필요 시 관상동맥석회화점수 검사를 시행해 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논문은 순환기내과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인 유럽심장저널(European Heart Journal, Impact factor: 20.212) 3월호에 ‘Prognostic value of coronary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findings in asymptomatic individuals: a 6-year follow-up from the prospective multicentre international CONFIRMstudy’라는 내용으로 최근 발표됐다.


한편 ‘관상동맥석회화지수(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ACS)’ 검사방법은 관상동맥에 침착된 칼슘의 양을 측정해 수치화하여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검사이다.


‘관상동맥CT조영술(Coronary CT Angiography; CCTA)’은 혈관에 조영제를 주사한 후 CT 촬영으로 관상동맥이 어느 정도 좁아져 있는지 영상으로 검사하는 방법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561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멀츠, 온코닉테라퓨틱스,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동화약품, 셀트리온, 한소제약, 현대ADM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