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의 주요 감염 경로가 성접촉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또 동성 및 양성간 성접촉이 이성간 성접촉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김준명 교수팀이 13일 메이필드호텔에서 개최된 대한화학요법학회·대한감염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국내 HIV 감염의 감염 경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김준명 교수팀은 2006년 12월부터 2018년 1월까지 ‘한국 HIV/AIDS 코호트’에 등록된 18세 이상 전국 21개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는 HIV 감염인 1,474명(남 1,377명, 여 97명, 평균 연령은 41.4세)을 대상으로 감염경로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HIV 감염인의 감염 경로는 동성 및 양성 간 성접촉이 885명(60.0%)이었으며, 이성 간 성접촉이 508명(34.6%)이었다.
혈액 및 혈액제제에 의한 감염과 마약주사 공동사용에 의한 감염은 매우 적었다.
연령군에 따른 감염 경로를 보면 젊은 연령군으로 갈수록 동성 및 양성 간 성접촉 비율이 증가했으며, 18~29세의 젊은 연령군에서 동성 및 양성 간 성접촉은 71.5%로 나타났다.
18~29세의 젊은 연령군을 좀 더 세분화했을 때 연령이 젊을수록 동성 및 양성 간 성접촉에 의한 감염이 급증했다.
특히 18~19세의 10대에서는 92.9%가 동성 및 양성 간 성접촉에 의해 감염됐다.
김준명 교수는 “그간 국내 HIV 감염의 주된 감염 경로가 이성 간 성접촉인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동성 및 양성 간 성접촉이 주된 감염 경로임이 밝혀졌다”며, “동성 및 양성 간 성접촉이 주된 감염 경로로 밝혀진 연구이다”고 밝혔다.
또 “연령이 젊을수록 이런 경향이 뚜렷하고, 특히 10대와 20대의 경우 대부분이 동성 및 양성 간 성접촉에 의해 감염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예방 및 관리 대책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