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담배연기 시력에 악영향…아시아인 흡연과 습성 황반변성 관계 규명 - 연세의대 김성수·임형택 교수팀, 건강보험 검진코호트 분석 결과 발표
  • 기사등록 2018-01-25 14:15:49
기사수정

국내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분석, 흡연과 습성 황반변성 발생 가능성의 상관관계를 제시했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안과 김성수·임형택 교수팀은 약 51만명으로 구성된 국민건강보험 검진코호트로 연구를 수행했다.



국민건강보험 검진코호트는 2002~2003년 사이 국가 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성인수검자의 약 10%인 51만명이 2013년까지 의료기관을 이용해 발생한 건강보험 청구내역 자료이다.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 국가검진에서 흡연에 대한 질문을 사용해 2009년 8월부터 2013년 12월 사이에 습성 황반변성 발생이 얼마나 일어났는지 살폈다. 


다만 검진코호트 중 여성은 흡연여부를 밝힘에 제약이 따른다는 점을 감안해 남성 집단만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교수팀은 나이·체질량·신체활력징후·동반질환 등 성향점수를 활용해 비슷한 수준을 보유한 흡연집단(최근까지 흡연을 시행하는 집단과 현재는 금연 중인 집단 포함)과 비흡연집단으로 구분했다.


두 집단에는 각각 64,560명이 동일하게 배정됐다.


조사기간 동안 습성 황반변성 환자는 비흡연 집단의 경우 154명, 흡연집단에서는 227명이 각각 발생했다. 위험비로 환산하면 흡연집단이 비흡연 집단 보다 약 50% 더 높은 발생확률을 보였다. 


교수팀은 흡연집단을 보다 세밀화 하여 습성 황반변성 발생 상관관계를 연구한 자료도 발표했다.


흡연집단은 과거 흡연을 했지만 현재는 금연 중인 집단(1만 9,688명)과 현재도 흡연을 유지하는 집단(4만 4,872명)으로 구분했다.


조사기간 동안 금연집단에서는 60명, 현재 흡연집단에서는 167명의 습성 황반변성 환자가 발생했다. 이를 비흡연 진단과 비교하면 금연집단은 21%, 흡연집단은 65% 더 높게 습성 황반변성 발생 확률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김성수 교수는 “안과의사가 형광안저촬영을 기반으로 습성 황반변성을 진단하고 국민건강보험 공단에 청구한 자료를 활용한 연구결과이기에 데이터 정확도가 매우 높다”고 말했다.


또 “아시아인에서 흡연과 습성 황반변성 발생사이 관계를 명확히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특히, 현재 흡연을 유지하는 집단 보다 금연집단에서 발생 확률이 낮다는 점은 한쪽 눈에 습성 황반변성을 지닌 환자나 건성 황반변성 환자 등 고위험 집단에서도 금연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교수팀은 이번 연구의 의의를 황반변성 발생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이라는 임상적 차원을 밝혔다는 점과 우리나라 공공보건 빅 데이터의 가치를 파악하고 연구에 적용하는 사례가 되었다는 점에 부여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안과학회지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에  ‘A nationwide cohort study of cigarette smoking and risk of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East Asian men(흡연과 습성황반변성 국가기반 코호트 연구)’ 라는 제목으로 최근 게재됐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382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000); })(jQuery)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