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염, 위암 발병률이 증가하며 연관 세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얻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소화기센터 방창석 교수팀은 지난 2015년 8월부터 2016년 8월까지 1년간 포털사이트 네이버 및 다음에서 ‘헬리코박터’ 키워드를 이용해 검색한 웹문서·블로그·카페·뉴스·질문답변 페이지·이미지·동영상·전문정보·학술자료·연구보고서·특허/KS 통계 리포트·국가기록물 등을 조사했다.
또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 SNS인 페이스북·트위터 등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얻은 텍스트 정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과 관련된 정보는 총 51만 1,545건이었으며, 이 중 인터넷 커뮤니티·질문답변 페이지·블로그·웹페이지 등에 게재된 정보는 50만 1,615건이었다.
반면 세균에 대해 상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소개하고 있는 학술자료, 전문정보, 뉴스, 연구보고서, 특허/KS 통계리포트 등에서 나온 정보는 3,877건에 불과했다.
방창석 교수팀은 각각의 정보에서 단어별 출현빈도, 단어별 조합 등을 살피기 위해 세부 분석을 시행했다.
그 결과 관련 온라인 정보 중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단어를 제외하면 ‘위암’, ‘위’, ‘감염’, ‘위염’, ‘치료’, ‘윌’, ‘균’, ‘위궤양’, ‘원인’, ‘음식’, ‘프로젝트’ 등의 단어가 자주 나왔다.
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과 연결돼 나타나는 단어 세트를 살핀 결과 총 36개의 세트가 나왔다.
이중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이 가장 빈번히 나타났고 ‘헬리코박터-파일로리’, ‘헬리코박터-프로젝트’, ‘프로젝트-윌’이 뒤를 이었다.
추가로 유튜브 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관련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 다른 동영상들과의 연결 정도와 조회수 등이 가장 높은 동영상은 2015년 게시된 특정 유통 제품에 대한 광고 동영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창석 교수는 “대중이 온라인, SNS 등을 통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대한 정보를 상당수 얻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하지만 총 정보량이 많지 않고 일부 왜곡된 정보가 유통되고 있으므로, 우리 국민이 올바른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전문가 집단 등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지에 게재됐으며, 지난 2일 개최된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 추계심포지엄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3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