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은 치료가 가능한 병이 되었지만 인력 부족으로 인해 그물망 시스템 구축은 물론 현재 운영되는 시스템에 대한 붕괴마저도 우려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신경과학회(회장 이동국 대구가톨릭대병원, 이사장 이병철 한림대성심병원)는 지난 11월 10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은 우려를 제기했다.
◆
국가 지정 11개 권역센터…뇌졸중 환자 5% 치료
뇌졸중은 치료가능한 병이 되었지만 이런 치료 혜택을 받는 환자는 아직도 소수다.
뇌졸중임상연구센터 데이터에 따르면 전체 뇌경색환자의 14%로 2010년 이후 전혀 증가하지 않고 있다.
특히 국가지정 11개 권역심뇌혈관센터에서 치료받는 뇌졸중 환자 수는 아직도 전체 뇌졸중 환자의 5%에 지나지 않는다.
신경과학회에 따르면 문제는 아직도 많은 환자들이 병원을 늦게 찾고, 처음 찾은 병원이 치료가능한 병원이 아닌 경우가 많고, 치료 가능한 병원들도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현재 국민들 10명 중 7명 이상은 뇌졸중의 주요증상에 대한 인지율은 높지만 골든타임인 3시간 이내 내원하는 비율은 30%, 치료가능한 병원에 치료받는 비율은 충분하지 않았다.
실제 심평원이 지난 2014년도 급성기 뇌졸중 평가결과에 따르면 3개월간 뇌졸중 치료건이 10건 이상인 201개 병원에서 치료받은 환자는 약 1만명으로 예상 발생환자의 1/4이 안되는 숫자다.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 법률 국회 통과…신경과 기피 ‘문제’
이런 문제들로 인해 지난 2016년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법률이 국회에서 통과되고, 정부도 이에 따른 관리종합계획을 준비중이다.
문제는 전 국민이 지역적, 경제적 차별없이 적절한 뇌졸중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국가적 ‘뇌졸중 안전망’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뇌졸중 진료를 담당하는 신경과 의사가 기본이지만 이를 담당할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유는 적절한 보상도 없이 열정페이만 강조하다 보니 학생 및 수련의들도 신경과를 기피하고 있다는 것.
실제 지난 2015년 93명 전공의 TO중 89명을 채웠지만 이중 13명(15%)가 1년을 못 채우고 그만뒀다.
뇌졸중 환자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신경과 뇌졸중 전담 전문의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결과에서도 ‘인력부족’ 및 ‘잦은 당직’ 등의 문제로 79%가 자신과 신경과의 미래를 비관적으로 보고 있었다. 이로 인해 지방 일부 병원에서는 뇌졸중 진료현장을 떠나고 있다는 것.
이런 상황에서 응급실에서 진료하는 환자수는 계속 증가추세이기 때문에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배희준(분당서울대병원) 정책이사는 “최소한 수련병원 차원에서 적절한 전문의 및 전공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공의 정원을 늘릴 필요가 있으며, 정부 차원의 정확한 필요인력 추산이 이뤄져야 한다”며, “우리나라에 최소 뇌졸중센터 100개는 확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복지부 전공의 정원 감축정책이 계속될 경우 뇌졸중을 비롯한 신경계 응급질환진료체계 붕괴도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병철 이사장은 “대한신경과학회는 뇌졸중으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지역의 일차뇌졸중센터 확대로 뇌졸중 안전망의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며, “이를 위해 뇌졸중 전문진료인력 확보가 필수적이며, 이에 대한 정부 차원의 정확한 필요인력 추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정부 지원으로 최근 진료환경이 많이 개선된 응급의료 및 중환자진료 등 뇌졸중 분야 진료시스템유지를 위해 정부의 정책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