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고위험 흡연자 대상 폐암검진 시범사업 실시…2018년 이후 단계적 도입 - 국립암센터, 서울대병원 등 전국 11개 의료기관서 수행…검진기관 지속 확…
  • 기사등록 2017-05-01 10:49:14
  • 수정 2017-05-01 10:56:56
기사수정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가 4월부터 연말까지 국립암센터 및 전국 9개 지역암센터, 서울대병원에서 고위험 흡연자(30갑년 이상 흡연력), 약 8000명을 대상으로 폐암검진 시범사업을 한다는 계획이다.

◆폐암 조기발견비율 22.2% vs 위암 62.2%
폐암은 각종 암 중에서도 사망자수 1위(2015년 기준)로 전체 암 사망의 22.6%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암종의 5년 상대생존율(2014년 기준)을 비교할 경우에도 생존율이 2번째로 낮은 위험한 질병임에도, 적절한 조기검진 방법이 제시되지 못해 왔다.
1-1.jpg

실제 폐암(22.2%)은 위암(62.2%), 대장암(36.1%), 유방암(58.6%) 등 다른 주요 암종과 비교할 때 암이 조기에 발견되는 비율이 낮다.

2010-2014년 요약병기별 5년 상대생존율을 살펴보면 암 발견이 늦어질수록 생존율이 급격하게 낮아지고 있어(국한 61.2% → 국소 33.7% → 원격 5.9%) 조기 발견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국립암센터 발표 폐암 검진 권고안 기반 수행
이에 따라 폐암검진 시범사업을 통해 폐암을 조기에 발견, 치료해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목표로 진행됐다.
 
이번 시범사업은 2015년 국립암센터에서 발표한 폐암 검진 권고안을 기반으로, 2016년 수행 계획을 마련했다.

예산상의 제약을 고려해 2017년 4월부터 연말까지 국립암센터, 서울대병원 및 전국 9개 지역암센터(강원대병원, 아주대병원, 칠곡경북대병원, 충남대병원, 부산대병원, 울산대병원 가천의대 길병원, 화순전남대병원, 제주대병원)를 대상으로 8,000명 한도 내에서 시범사업을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4월 27일 현재 국립암센터, 충남대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3개 기관에서만  수행중이며, 나머지 기관들은 사업계획에 대한 기관별 윤리위원회 승인을 받은 이후 수행할 예정이다.

◆시범사업 선정환자…폐암 검진 저선량 CT 활용 진행
폐암검진 시범사업 대상자는 55세부터 74세까지의 30갑년 이상 흡연력이 있거나 현재 흡연자이지만 금연한지 15년 이내의 과거흡연자일 것을 조건으로 한다.

단 대상자 조건에 부합하더라도 개별적으로 신청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시범사업 참여기관에서 5대암(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국가암검진을 받은 수검자 중 흡연력을 포함한 폐암 발생 위험요인을 평가하여 선정하거나 ▲시범사업 참여기관에서 운영하는 금연클리닉을 방문하여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선정될 수 있다.

선정된 환자들은 별도의 검진비를 부담하지 않으며, 개별적으로 시범사업 참여 동의 여부를 확인하고, 검진 수행 일정·절차 등을 안내한다.

이번 시범사업에서 폐암 검진은 저선량 CT를 활용하여 실시하며, 흡연자의 경우 금연 진료상담을 조건으로 검진 결과를 제공할 예정이다.

복지부권준욱 공공보건정책관은 “폐암 발생 가능성이 낮은 저위험군은 검진을 수행할 경우 방사선에 불필요하게 노출되고, 이상소견이 발견될 경우 추가 검사를 받더라도 실제 폐암일 가능성이 매우 낮아, 이번 시범사업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폐암검진 수행의 문제점을 줄이고, 검진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2018년부터는 공공의료기관 기반으로 폐암검진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요약병기란 미국 국립암연구소가 개발한 것으로, 암이 그 원발부위로부터 얼마나 퍼져있는지에 대해 범주화한 분류 방법이다.  이에 따라 ▲국한=암이 발생 장기를 벗어나지 않은 수준 ▲국소=발생 장기 외 주위 장기, 인접 조직 등을 침범 ▲원격=암이 발생 장기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부위에 전이이다.

요약병기별 주요암 발생 현황 및 상대생존율은 (http://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3473&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9360335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씨월드, 셀트리온, 온코닉테라퓨틱스,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pt>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