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지난 5년간 벌초와 성묫길 벌쏘임·뱀물림 사망자 142명 이상 - 벌쏘임·뱀물림 7만 7,063건 발생, 벌쏘임-경기, 뱀물림-경북 ‘최고’
  • 기사등록 2016-09-02 22:12:19
  • 수정 2016-09-02 22:12:48
기사수정

지난 5년간 벌초와 성묫길 벌쏘임·뱀물림 사고로 사망자 142명 이상 발생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원회, 서울 도봉갑)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2011년~2015년) 동안 벌 쏘임 환자 발생 건수는 5만 6,288건, 뱀 물림 환자 발생 건수는 2만 775건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른 사망자도 아직 통계가 확정되지 않은 2015년을 제외하고 4년(2011년~2014년) 동안 뱀물림 9명, 벌쏘임 133명으로 총 142명이 목숨을 잃었다.

월별 벌쏘임 진료 현황을 분석한 결과 벌초와 성묘를 진행하는 8~10월 사이 전체의 63%인 36,497명이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았고, 뱀 물림의 또한 전체의 49.3%인 12,272명이 이 기간에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건강보험료 지출은 총 175억 원이었다.

최근 5년간 벌 쏘임 사고의 지역별 발생 현황을 보면, 경기가 8,088건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 7,734건, 경남 7,633건, 전남 6,516건, 경북 5,636건, 충남 5,083건, 전북 5,061건 순이다.

연령별로는 전체 56,288명 중 50대가 26%인 14,834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40대가 20%인 11,425명, 60대가 17%인 9,721명, 30대가 11%인 6,418명 순으로 나타났다.

뱀 물림 사고의 지역별 발생 현황은 경북이 3,536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3,261건, 전남 2,855건, 강원 2,198건, 충남 2,059건, 경남 1,942건, 충북 1,687건 순이다.

연령별로는 전체 20,775명 중 60대가 24%인 4,951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50대가 24%인 4,921명, 70대가 22%인 4,566명, 40대가 11%인 2,367명 순으로 나타났다.

인재근 의원은 “추석을 맞아 벌초와 성묫길에 나설 때에는 사고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벌 쏘임이나 뱀 물림 등 만약의 사고에 대비한 응급조치 요령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7282188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