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미래부 ‘연구실 안전문화 확산’방안 수립·추진 - 8월 3일부터 슬로건, 캐릭터 등 4개 분야 대국민공모전 시작
  • 기사등록 2016-08-09 17:39:00
기사수정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가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시행(‘06.4월) 10주년을 맞아 다양한 캠페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그간 연구실 안전은 규제 중심의 정책(연구현장 점검 등에 따른 과태료 부과,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 지정 강화, 연구실 안전문화에 대한 법적 근거 미흡 등)으로 정부, 국민, 연구자 등이 연구실 안전 문화에 대한 중요성과 인식이 미흡했고, 연구실 안전 의식 및 관리는 연구주체의 장의 관심과 의지가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연구현장에서는 실제로 반영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미래부에서는 연구실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하고 국민, 연구자 등의 자율적인 참여와 공감을 통해 ‘연구실 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을 창출하고 확산하기 위해 다양한 캠페인과 정책을 마련했다.

우선 국민, 연구주체 등의 관심과 호응을 유발하고 새로운 연구실 안전문화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슬로건, 캐릭터, 포스터, 연구실 안전정책 등 4개 분야에 대한 대국민 공모전을 진행한다.

이번 공모전은 전문사이트(씽긋(www.thinkcontest.com), 대티즌(www.detizen.com), 씽유(www.thinkuniv.com)), 미래부 홈페이지(www.msip.go.kr), 창조경제타운(www.creativekorea.or.kr), 국가연구실안전정보시스템(www.labs.go.kr) 등을 통해 참여가 가능하다.

우수작에 대해서는 버스/지하철 광고, 라디오 /TV 한줄 광고, 캠페인, 각종 행사 시 활용, 안전의 날 행사 시 포상(분야별 최고 1~300만원)한다. 

공모전을 통한 관심과 호응을 기반으로 미래부와 연구주체의 장 등이 직접 발로 뛰는 ‘찾아가는 안전문화 행사’를 추진하고, ‘연구실 안전 칭찬릴레이’를 통해 연구주체의 자발적인 참여와 경쟁을 유도하여 안전문화를 점진적으로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일반 대중,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연구실 안전의식 고취 및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국립과학관과 연계한 상시 소통의 장(場)을 마련하고, 다양한 연구주체가 참여하고 공감할 수 있는 축제마당으로 연구실 안전문화 페스티벌(제10회 연구실 안전의 날)도 준비 중이다. 

또 미래부는 신규 법·제도 마련,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정책지원 강화 방안을 마련하여 연구실 안전문화에 대한 의식의 안착과 지속적인 확산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가칭) 연구실 안전 마일리지 제도’의 신규 추진을 통해 안전문화에 대한 자율경쟁 유도 및 의식개선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표)연구실 안전 마일리지 제도 신설(안)  

또 연구실 안전문화의 정책적 추진을 위해 연구실 안전 기본계획에 반영토록 연구실안전법을 개정하고, 인력·지원조직 확대, 예산 지원 등 체계적 추진기반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미래부 용홍택 미래인재정책국장은 “이번 연구실 안전문화 확산 추진으로 그 간 도외시되었던 연구실 안전에 대해 국민, 연구주체 등의 관심과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며 “미래부는 향후 지속적인 정책 추진 및 인센티브 강화 등을 통해 연구실 안전문화에 대한 의식이 연구자뿐 아니라 학생, 일반 국민 모두에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7056638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건의료노조, 127개 의료기관 쟁의조정 신청 완료…7월 24일 총파업 예고
  •  기사 이미지 [6~7월 제약사 이모저모]베이진, 신신제약, 한국머크, 티디에스팜,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목암생명연, 바이엘, 엔지켐생명과학, 한국로슈, 한국머크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