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미래연구자의 시각에서 본 미래(직업)연구의 5가지 문제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성원
  • 기사등록 2016-03-01 10:10:00
기사수정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상당수의 미래 연구는 5가지 문제를 여전히 갖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성원 연구위원은 지난 2월 26일 서울 광화문 소재 달개비(Conference House)에서 개최한 ‘2016년 제1차 미래직업세계 포럼 : 미래 직업세계 연구 현황과 제4차 산업혁명의 영향’이라는 주제의 포럼에서 이같은 문제를 제기했다.

박성원 연구위원이 제기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호하는 미래상을 전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주어진 변화만 볼 뿐 필요한 변화를 만들려는 노력은 하지 않게 된다.

둘째, 현재의 추세가 무엇을 향해 가고 있는지 깊이 있는 질문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문제는 풀리지 않고 반복된다.

셋째, 기술의 미래만 중시할 뿐 기술이 사회/제도/규범을 어떻게 변화시킬지는 예측하지 않는다. 그래서 변화의 일면만 보게 된다.

넷째, 미래연구는 기회의 선점이라는 측면만 부각한다. 그러면 실제는 남들 하는 일 따라하게 된다. 진짜 기회를 놓친다.

다섯째, 현재세대의 이익만 고려할 뿐 미래세대의 이익은 고려하지 않는다. 그래서 늘 후배/후손들에게 욕먹는다.

박 연구위원은 “미래연구는 다양한 변화를 예측하고 적응하며, 필요한 변화는 일으키고, 그 변화에 대한 책임을 지는 인재를 길러내는 것이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5666505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건의료노조, 127개 의료기관 쟁의조정 신청 완료…7월 24일 총파업 예고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6~7월 제약사 이모저모]베이진, 신신제약, 한국머크, 티디에스팜,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