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정부, 안전한 설 명절 보내기 종합대책 추진 - 특별대책기간(2.5~2.11) 설정 및 비상대응체계 가동 등
  • 기사등록 2016-02-01 08:18:05
기사수정

정부가 설 연휴(2.6~2.10, 5일) 동안 국민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특별안전대책을 수립·시행하고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한다.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지난 1월 29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7차 국민안전 민관합동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 명절 안전대책’을 보고하였다.

설 연휴 중 대형사고 등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하여 국민안전처 중앙재난안전상황실과 관계부처 및 지자체 종합상황실은 24시간 비상근무 및 상황인력 보강 등 상황관리체계를 강화하고, 전국 소방·해경·경찰관서에서는 설 명절 전·후를 ‘특별안전대책기간(2.5~2.11, 7일간)’으로 설정하여 특별경계근무에 돌입하는 등 현장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부처별로 추진하는 소관 분야별 안전대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설 연휴 동안 전국적으로 일일 평균 416만대(‘15년, 404.7만대/일)의 차량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최대 혼잡 예상 시간은 귀성길의 경우 2월 7일(일) 12시, 귀경길은 2월 8일(월) 18시이다.
이에 따라 국토부에서는 2월 5일부터 10일까지, 6일간을 특별교통대책기간으로 설정하고, 특별교통대책본부 운영 등 안전한 귀성·귀경길 여객 수송을 위한 대책을 중점 추진한다.

아울러 약 33만 6천명으로 예상되는 도서지역 여객 수송을 위해 해수부는 특별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하여 여객선 수송능력을 평시 대비 19% 확대(1일 130척 740회 → 1일 139척 881회)한다.

또 민간 전문경력 보유자인 해사안전감독관을 중심으로 여객선 합동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등 안전운항관리도 강화한다.

연휴기간 발생할 수 있는 겨울철 자연재난에 대비하여 폭설대책으로 국토부 등 관계기관은 제설 취약구간(2,148개소)에 제설 장비·인력 등을 사전에 전진 배치한다.

한파대책으로는 지자체가 한파대책 종합상황실과 긴급지원반 가동 및 취약계층 지원(산간 고립마을 거주자 구조·구호, 홀로어르신 지원 등) 등을 추진하게 된다.

농식품부는 전북 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비상대책상황실 24시간 운영 및 백신 일제접종 등 방역관리체계 구축 뿐 아니라 취약지역 중심으로 마을방송 등 대국민 방역홍보도 중점 실시할 예정이다.

사업장 안전대책으로는 고용부와 안전보건공단 중심으로 상황근무조 편성, 위험상황신고실(☏ 1588-3088) 24시간 운영 등 비상대응시스템을 가동하기로 하였다.

보건복지부 비상진료 대책에서는 중앙과 지자체에 비상진료대책상황실 운영 및 휴일 당번 의료기관·약국 지정(총11,060개소) 등을 통해 진료 공백을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24시간 비상진료 응급의료기관(540개), 당직 의료기관(4,260개), 휴일지킴이약국(6,260개소)이다.

이외에도 설 연휴 전까지 사고발생 가능성이 있는 분야에 대한 사전 예방활동의 일환으로 분야별 안전점검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국민안전처에서는 전국 재난·안전 상황관리를 총괄하고, 각 기관들이 분야별 안전대책을 계획대로 현장에서 이행하고 있는 지를 표본점검 및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안전감찰활동도 진행할 예정이다.

박인용 국민안전처장관은 “설 연휴 동안 국민안전처는 전국의 재난·안전 상황을 24시간 꼼꼼히 챙기겠다”며 “국민들께서도 자신의 안전은 가족과 이웃의 행복이라는 인식을 갖고 안전운전 등 안전에 각별히 신경을 써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설 명절 알아두면 유익한 긴급 전화번호, 설 명절 안전대책 관련 부처 담당자는 (http://www.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2709&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5425352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건의료노조, 127개 의료기관 쟁의조정 신청 완료…7월 24일 총파업 예고
  •  기사 이미지 [6~7월 제약사 이모저모]베이진, 신신제약, 한국머크, 티디에스팜,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목암생명연, 바이엘, 엔지켐생명과학, 한국로슈, 한국머크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