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현장에서 소방관의 생명을 보호하는 소방관 개인안전장비(공기호흡기, 방화복, 헬멧, 안전화, 안전장갑, 방화두건)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상당수가 노후해 현장소방관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안전처가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에게 제출한 ‘소방관 개인안전장비 보유 및 확보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개인안전장비 부족 수량이 47,892개로 나타났다.
방화복은 필요 수량 70,028벌 대비 11,745벌이 부족해 확보율이 83%에 불과했다. 그나마도 보유하고 있는 59,097벌의 방화복 중 12,954벌(21%)의 방화복은 노후화 돼 사실상 정상적인 방화복은 65%에 불과했다.
가스로 가득찬 화재 현장에서 산소를 공급해주는 공기호흡기는 39,946개가 있어야 하지만 3,030개가 부족했으며 보유하고 있는 공기호흡기 37,479개중 5,819개(15%)는 노후화 됐다.
헬멧은 3,097개가 부족하고 보유량 38,749개 중 10,314개(26%)가 노후화 됐다. 안전화, 안전장갑, 방화두건은 각각 11,967개, 7,611개, 10,442개 씩 부족한 실정이다.
소방관들의 개인 안전장비 뿐 아니라 현장소방인력도 기준인력 보다 크게 모자란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안전처가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에 제출한 ‘소방력 기준 대비 현장 활동 부족 인력’에 따르면 현장활동기준 인원은 50,493명지만 현재 29,783명(59%)으로 20,710명의 현장소방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인원 혼자서 1인2역을 해야하는 셈이다.
현장 활동 인력이 가장 부족한 지역은 경기, 경북, 경남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소방력 기준인력이 9,142명이지만 현장 활동 4,830명에 불과해 4,312명이 부족하다. ▲경북은 기준인력이 4,961명이지만 현장 활동 2,248명에 불과해 2,713명이 부족하다. ▲경남은 기준인력이 3,379명이지만 현장 활동 1,605명에 불과해 1,774명이 부족하다.
김기식 의원은 “소방인력이 모자라면 현장에서 소방관들의 무리한 작업을 불러일으켜 2차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며 “이는 곧바로 국민들의 피해로도 직결된다”고 지적했다.
또 “소방관들의 부족한 안전장비를 시급히 지급하고, 중장기적인 인력충원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