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사는 중학교 남학생 가장 양치 안해…전체 청소년 칫솔질 38.4% - 실천율‘서울’5년 내내 골찌, 중학교 남학생 15.6%로 실천율 최저
  • 기사등록 2015-04-02 15:15:56
  • 수정 2015-04-02 15:16:28
기사수정

서울에 사는 중학교 남학생이 가장 양치를 안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학교에서의 청소년 양치질 실천율은 38.4%로 청소년 5명 중 3명은 점심 먹고 양치질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김현숙 의원(복지위)이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4년도 학교에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교에서의 청소년 양치질 실천율은 중·고등학교 학생 평균 38.4%로 나타났고, 중학교 학생의 경우 24.5%로, 고등학교 학생 평균 52.2%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중학생이 고등학생 보다 학교에서의 구강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성별로는 중·고등학교 남학생의 경우 평균 27.3%로 여학생 평균 50.5%의 절반 수준에 그쳐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구강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자세히 보면, 중학교 학생의 경우 평균 24.5%의 실천율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남학생이 15.6%, 여학생이 34.3%로 나타났고, 고등학교 학생의 경우에도 남학생이 39%, 여학생이 66.7%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보면, 위생 및 예방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서울지역이 2014년도에 22.5%로 칫솔질 실천율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년 내내 실천율이 가장 낮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제주가 28.5%, 경기도 35.6%, 대구 36%, 부산 36.8%, 인천 37.9%순으로 치솟질 실천율이 저조해 수도권 및 광역시 등 대도시 청소년들의 학교에서의 칫솔질이 실천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충남이 60.4%로 실천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남 54.6%, 전북 51.6%, 경남 50.2% 순으로 나타나 지방 청소년들의 칫솔질 실천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교육부에서 발표한 ‘2014년도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에 따르면 중학교 학생(1학년)의 구강질환 유병율이 치아우식증 28%, 치주질환 12.1%로 나타났고, 고등학교 학생(1학년)도 각각 38.8%, 21.3%로 나타났고, 치주질환의 경우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해 청소년기 구강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김현숙 의원이 지난 해(‘14년) 국정감사에서 발표한 ‘20세 미만 진료과목별 진료실 인원’자료에 따르면, 소득분위 1분위(하위10%)와 10분위(상위10%) 진료실 이용 격차가 큰 상위 15개 과목 중 한방과목을 제외하면 모두 구강관련 진료과목으로 나타난 가운데, 구강병리과, 구강내과, 치주과, 예방치과에서 격차가 각각 4배, 3.7배, 3.5배, 3.1배로 나타났다.

이에 김현숙 의원은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처럼 구강건강의 경우 청소년기의 규칙적인 양치질만으로도 건강한 치아를 오래토록 유지할 수 있는데, 학교에서의 양치질 실천율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청소년들의 구강위생이 취약한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또 “특히 구강관련 치료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가 많아 고비용 진료과목으로 꼽히고 있어 저소득층 자녀의 경우 의료기관 이용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양치질을 통한 기본적인 예방에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며 “양치질 교육에 엄격한 가정에 비해 관대한 집단인 학교에서의 양치질 실천율이 낮은 만큼 보건복지부와 교육부는 학교에서의 양치환경개선 사업을 통해 바른 양치 습관을 유도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2795530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존슨앤드존슨,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박스터, 신풍제약, 셀트리온, 한국아스텔라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1일 병원계 이모저모④]국립암센터, 동탄성심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