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KBS 3.1절 특집 다큐멘터리 [100년 전 기억을 기록하다] - 3.1운동 피살자 명부 추적
  • 기사등록 2015-02-27 00:18:00
기사수정

011.jpg
60년 만에 발견된  3.1운동 피살자 명부의 주인공들을 추적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오는 3월 1일 밤 8시 KBS1TV에서 방영되는 3.1절 특집 다큐멘터리 [100년 전 기억을 기록하다] 에서는 3.1 운동 피살자 명부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3.1운동 피살자 명부는 이승만 정부가 1953년 1월 즈음 당시 한,일 국교정상화를 위한 2차 회담을 앞두고 일본의 한국내 재산 청구에 대한 대응적 차원에서 조사, 작성한 것이다.
 
비록 독립운동을 기념하고 희생자들 기리기 위해 작성한 것은 아니지만 해방 이후 최초이자 마지막인 정부(국가) 차원의 독립운동 희생자 조사한 것이라는 큰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이 명부가 작성 이후 정부나 학계 차원에서 전혀 활용되지 못한 채 일본 주재 대사관에 묻힌 채 60년이 흘러버렸다.
 
그 사이 3.1운동의 참여자와 목격자는 모두 세상을 떠났다.
 
◆명부 속 무명의 순국자들을 찾아서
취재팀은 작성된 지 60년 만에 발견된 명부 속의 주인공들을 찾아 나섰다.
우선 명부 속 이름은 모두 645명. 하지만 취재와 조사, 분석 결과 25명은 중복 기재된 것으로 드러나 총 기재 인원은 620명으로 나타났다.
 
이를 명부 작성 당시 조사지역(도별)으로 구분하면 경남 249명으로 1/3이 넘도록 가장 많았고(조사 당시 한국 전쟁 중으로 남한 지역만 조사가 됐는데 이 가운데 경남이 비교적 전쟁 피해가 덜했고 피난민들이 대거 조사에 참여했기 때문으로 보임), 경기(168명), 충남(70명) 순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명부에 적힌 순국 장소별로 다시 분류하면 경기도가 143명으로 가장 많고 경남 138명, 충남 51명 등으로 순서가 바뀐다.
 
또 명부 속 620명 가운데 이미 독립운동의 공로가 확인돼서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등에 서훈된 분은 300명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320명은 미서훈자, 그렇다면 이들은 누구일까.
 
◆100년 전 조각난 기억의 퍼즐 맞추기
022.jpg

국가보훈처는 2013년 명부 발견 이후 조사 작업을 통해 지금까지 30명의 유공자를 추가로 발굴해 건국훈장에 추서하였다.
 
하지만 절반 이상은 아직 공로를 인정받지 못한 채 무명의 순국자로 남을 정도로 10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지금 독립운동의 증거와 자료 그것도 순국의 증거들을 확인하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일본 군경에 체포돼 감옥살이를 한 독립운동가는 행형기록이나 판결문이 남아 서훈 증거로 활용되고 있지만 독립운동 중 순국자는 보통의 경우 기록을 남기지 않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젠 3.1운동의 순국을 증언해 줄 참여자도 목격자도 없는 상황
 
취재팀은 단 한 명의 순국자라도 그 공로를 확인하기 위해 전국을 돌며 주민들을 상대로 명부 속 이름들을 추적했다.
 
유관순 열사보다 더 어린 14살 무명의 순국자부터 중국 안동에서 숨졌다는 불교계 지도자까지 조사와 추적을 거듭한 끝에 수십 명의 명부 속 이름들의 후손을 찾을 수 있었다.

◆3.1운동 당시 인명 피해 규모는?
1919년 일제가 집계한 3.1운동 사망자는 6백여 명 가량이다.
 
이는 조선총독부와 헌병대가 작성한 ‘조선소요사건일람표’와 ‘조선주둔 일본군 사령부가 작성한 조선소요사건 사상자 수’ 보고서를 중복 지역을 제외하고 통합해 집계한 것에 따른 것이다. 
 
반면 비록 국내에서의 조사는 아니었지만 1919년 당시 상해임시정부가 조사한 희생자는 6천5백여 명으로 무려 10배 정도 차이가 난다.
  
그렇다면 실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3.1독립운동 과정에서 숨진 것일지 취재팀은 일제 측 집계 자료에 대한 분석과 우리 명부 분석 자료를 비교 분석하는 등 희생 규모의 실체에 접근하고자 했다.
05.jpg
 
■ 방송 일시 : 3월1일 일요일 밤 8시, KBS 1TV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2493868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건의료노조, 127개 의료기관 쟁의조정 신청 완료…7월 24일 총파업 예고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6~7월 제약사 이모저모]베이진, 신신제약, 한국머크, 티디에스팜,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