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민 10명 중 7명 “경제부진 지속되거나 심화되고 있다” - 전경련, 최근 경제상황 국민인식조사 결과 발표
  • 기사등록 2014-10-13 00:39:09
  • 수정 2014-10-13 00:40:43
기사수정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은 “경제부진이 지속되거나 심화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하여 ‘경제상황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19세 이상 성인남녀 800명 대상), 최근 경제상황에 대해 국민들의 73.2%가 ‘부진이 지속되거나 심화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되고 있다’는 의견은 21.0%에 그쳤다.

경제회복 시기와 관련해서는 59.5%가 ‘예측 곤란’이라고 응답해, 절반 이상의 국민들이 경기 회복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내후년(2016년) 이후’라는 답변이 14.3%로 나타나 경기부진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하는 국민들이 많았다.

지난해 대비 올해 가계소비 수준 변화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변화 없음’이라는 대답이 42.1%로 가장 많았으며, ‘소비가 줄었다(36.7%)’ ‘소비가 늘었다(20.6%)’순으로 답변하였다.

국민들은 가계소비가 부진한 원인으로 △가계부채 증가(23.6%) △교육비·의료비 증가(20.6%) △노후 불안(20.0%)을 가장 많이 들었으며, 다음으로 △전·월세 등 주거비 부담 증가(16.3%) △고용 부진(12.8%) 순으로 제시했다.

우리나라의 기업경영 환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의견이 많았다. ‘중국, 싱가폴, 일본 등 경쟁 국가들에 비해 좋다’는 의견은 19.1%로 나타난 반면, ‘좋지 않다’는 답변은 52.9%로 조사됐다.

국민들은 국내 기업경영환경 개선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안정적 노사관계 정착(42.8%)’을 가장 많이 지목했으며, 다음으로 △땅값, 물류비용 등 높은 생산비용 개선(28.1%) △기업활동 규제 완화(14.1%) △반기업 정서 해소(6.7%) 순으로 응답했다.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에 대해 ‘청년, 여성 등 일자리 창출(34.9%)’을 가장 많이 답했으며, △규제개혁을 통한 투자 및 성장 촉진(19.3%) △비정규직 처우 개선(12.0%) △주택시장 정상화(11.1%) △공공부문 개혁(10.9%) △소비여건 개선(9.5%)이 그 뒤를 이었다.

전경련 김용옥 경제정책팀장은 “이번 조사에서 국민들이 인식하는 체감경제는 매우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며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모든 경제주체들이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1312826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건의료노조, 127개 의료기관 쟁의조정 신청 완료…7월 24일 총파업 예고
  •  기사 이미지 [6~7월 제약사 이모저모]베이진, 신신제약, 한국머크, 티디에스팜,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목암생명연, 바이엘, 엔지켐생명과학, 한국로슈, 한국머크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