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인데 왜 전문소생술 자격이 없어요?” “전문소생술 자격이 없으면 의사 채용을 할 수 없습니다”
국내에서 의대를 졸업하고 흉부외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후 지난 1985년에 미국으로 건너가 의사로 활동하고 있는 이한식씨는 처음으로 미국으로 가서 이같은 상황들을 접하고 놀랐다고 밝혔다.
◆미국, 시간적-경제적 배려 기본
바쁜 의료진들이 약 10시간 30분의 전문소생술 교육을 받고 2년마다 재인증을 받는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한국의 경우 병원에서 자체적으로 하는 약 1~2시간 정도의 심폐소생술 교육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미국의 병원들은 약 10시간 30분의 전문소생술 교육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시간적, 경제적으로 배려한다는 것이다.
이 교육에는 의사는 당연하고, 간호사, EMT 등은 물론 의대생들도 기본교육으로 이수하고 있다.
이 씨는 “미국에 처음 와서 간호사나 EMT들도 누구나 ACLS를 능숙하게 할 줄 안다는 사실에 놀랐다. 심장마비 환자가 생기면 나 같은 초보자는 뒤로 밀리고 간호사가 CPR을 주도할 정도였다”며 “2년마다 심폐소생술 인증을 재갱신 하도록 되어있는데 그때마다 외과교실에서 오후시간을 따로 배당해주고 우리나라 돈으로 20만원 정도의 교육비용도 부담해줘서 부담이 없었다”고 밝혔다.
◆한국, 교육장소조차 없어…“경제적 이득없다”거절도
하지만 이는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어려운 일.
실제 C대학병원의 경우 의료진의 전문소생술 교육을 위해 대학 측에 교육받을 장소 협조요청을 했지만 경제적 이득이 없다는 이유는 거절을 당해 마땅히 교육 받을 곳도 없는 상황이다.
이 대학병원에서 전문소생술 교육을 주도하고 있는 한 교수는 “한국에서 심장정지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의사들부터 전문소생술을 알아야 되겠다는 판단에 따라 이같은 교육을 주도하고 있는데 아무런 지원도 없이 진행하기에는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며 “미국처럼 의사들은 당연히 받아야 하는 교육으로 자리 매김 되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전문소생술, 심정지환자 생존율 높일 수 있어
전문소생술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간단하다. 갑작스러운 심장정지 사망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최근 갑작스러운 심장정지 사망자가 많아지고 있는 한국의 현실에서 반드시 필요한 예방조치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갑작스런 심장정지로 사망한 경우는 약 2만 5,000명으로 자동차사고로 사망하는 7~8,000명의 3배 이상이다.
실제 올 초 서울 강남지역의 유명 성형외과에서 간단한 성형수술을 받던 여고생이 뇌사상태에 빠져 충격을 주기도 했으며, 종종 의료기관 내에서 심정지가 발생해 환자가 사망하는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심폐소생협회는 “이는 일부 의료진들을 제외하고는 전문소생술에 미숙해 빠른 대처를 못해 심각한 상황에 빠지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며 “특히 성형수술을 받는 환자들은 대부분 젊고 건강한 환자들로 전문소생술만 제대로 했으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대한심폐소생협회 노태호 홍보이사(가톨릭의대 순환기내과)는 “의사입장에서 성형수술환자는 가장 건강한 사람이다”며 “난이도가 높지 않은 수술 중 사망사고가 계속 발생하는 것은 응급상황대처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병원근무 의사 10명 중 4.6명만 전문소생술 인증…재인증 전체 5.6% 불과
실제 국내 병원 근무 의사 4만 8,926명 중 전문소생술 인증 보유자는 4.6%(2232명),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10만 19명 중에서는 1.7%(1733명)에 불과하다.
대한심폐소생협회 이승준(명지병원 응급의학과)홍보위원이 제시한 ‘국내 전문심장소생술 인증현황’에 따르면 2013년 말 기준으로 집계한 전문소생술 인증 현황을 확인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이 조사결과 전체 활동의사 9만 710명 중에서는 2.5%(2232명)만이 전문소생술을 자격을 가지고 있다.
또 전문소생술 자격을 가지고 있는 전체 대상(5,674명) 중 재인증을 받은 비율은 의사의 경우 4.1%, 전체 5.6%에 불과해 전체적인 전문소생술 인증 비율은 더 낮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승준 위원은 “현재 2년 마다 재교육을 통해 재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으며, 재인증을 받지 않으면 인증이 만료된다”고 설명했다.
◆수가 및 평가 등 현실적인 해결책 마련돼야
이처럼 의료진들이 교육을 안 받는 이유는 우리나라는 대부분 병원에서 의과대학 수련이 끝나면 수련의, 전공의, 전문의들은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을 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심정지 상황을 맞닥뜨릴 기회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 전문심폐소생술을 위해 최소 5명의 의료진이 1시간 넘게 심정지 환자에 매달려야 하는데, 보험수가는 6∼7만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방안을 마련, 진행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대한심폐소생협회 김현(원주의대 응급의학교실) 전문소생술(ACLS) 위원장은 해결방안으로 우선 대한심폐소생협회의 권고가이드라인을 병원평가 항목에 추가하고 시행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병원평가의 하나의 조건으로 해서 병원내 의료인(수련의, 전공의, 교수진, 치과의료진)이 2년에 한번은 한국형 심장소생술을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병원 내에서 심정지 환자가 발생하고 치료한 내용을 각 병원 내에서 적절한 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즉 원내 심폐소생위원회에서 케이스를 분석하고, 문제점 피드백과 재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김현 위원장은 “각 병원에서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며 “병원안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심정지 환자에 대한 고품질의 심폐소생술팀에 의한 전문심장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노태호 홍보이사는 “미국에서 ‘ACLS=의사면허증’이라는 공식이 나오는 것처럼 한국에서도 ‘KALS=의사면허증’이라는 공식이 만들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며 “병원은 물론 개원가에서도 전문소생술 교육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는 인식전환과 함께 이를 할 수 있도록 제도적, 경제적 지원도 필수적으로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BLS(기본소생술 : basic life support)는 따로 약물이나 장비가 필요 없고 많은 의학적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아 일반인도 일정한 교육을 받으면 시행할 수 있다.
ACLS(전문소생술: advanced cardiovasular)는 BLS에 약물사용, 전문기도유지술을 더한 의료행위로 주로 의사와 간호사를 비롯한 의료인에 의해 시행되며 제한적 범위 내에서 응급구조사와 119구급대원도 시행할 수 있다.
KALS(한국형 전문소생술 : Korean advanced life support)는 ACLS를 기본으로 교육 시간 및 교육 내용 등을 한국 현실에 맞추어 업데이트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