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환절기 봄 감기, 저연령층 주의 - ‘급성 상기도 감염’ 매년 3∼4월에 진료인원 증가, 20대 이하서 많이 발생
  • 기사등록 2013-03-05 18:17:27
  • 수정 2013-03-06 09:45:07
기사수정

환절기면 찾아오는 환절기 봄 감기는 저연령층일수록 더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7~2011년)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급성 상기도 감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분석 결과 진료인원은 2007년 1,982만명에서 2011년 2,075만명으로 5년간 약 92만명이 증가(4.7%)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3%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7년 8,347억원에서 2011년 9,416억원으로 5년간 약 1,069억원이 증가(12.8%)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3.3%로 조사됐다.

(그림)‘급성 상기도 감염’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추이(2007~2011년)
5-1.jpg

급성 상기도 감염 진료인원의 월별 진료추이를 분석한 결과 환절기인 3~4월, 9~10월에 진료인원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날씨가 따뜻해지나 일교차가 큰 3~4월에 진료받은 환자수가 겨울철 환자수와 비교해도 비슷한 수준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한편, 1년 중 급성 상기도 감염의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달은 겨울철의 중심인 12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급성 상기도 감염’ 월별 진료인원 추이(5년평균 수치)
5-2.jpg

급성 상기도 감염 진료인원의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은 2011년을 기준으로 0~9세가 18.8%, 10~19세가 14.5%로 20세미만의 소아․청소년이 33.3%의 점유율을 보였다.(기타 연령대에서는 약 10~15% 내외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급성 상기도 감염’ 10세 구간별 진료인원 비교(2007년/2011년)
5-3.jpg

급성 상기도 감염의 진료인원을 성별로 분석해 본 결과 남성 진료인원의 점유율은 약 45%, 여성 진료인원의 점유율은 약 55%로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에 비해 약 1.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연도별 평균 증가율에서도 남성 진료인원이 약 1.1%, 여성 진료인원이 약 1.4%로 여성이 0.3%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림) ‘급성 상기도 감염’성별 진료인원 추이(2007~2011년)
5-4.jpg

급성 상기도 감염이란 코, 목구멍, 기관지와 같은 상기도의 급성 염증성 질환을 말한다.

이같은 질환은 콧물, 재채기, 기침, 발열이나 목이 아픈 증세 등 감기 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는 공통점이 많아 일반적으로 ‘감기’라고 한다.

급성 상기도 감염은 대부분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세균에 의한 감염 등이 주된 원인이 된다. 단순히 날씨가 추운 것만으로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지 않지만 추위로 인해 체온이 불균형하게 되면 감기에 쉽게 걸릴 수 있는 상황을 제공하게 된다.

환절기에는 일교차가 심하여 체온이 불균형하게 되기가 쉽고, 특히 3~4월에는 황사 등의 미세먼지가 활성화되는 시기와 맞물려 호흡기에 자극이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므로, 이 부위의 저항력이 떨어져 바이러스 감염이 용이하게 된다.

소아-청소년의 성장기에는 호흡기가 완전하게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성인에 비해 위와 같은 자극에 더욱 민감할 수 있다.

또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같은 바이러스라도 어른에 비해 열이 높고 반응이 강해 호흡기 증세 외에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소화기 증세를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환절기에는 더욱 주의해야 한다.

‘감기에는 특효약이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감기의 치료는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그러나 감기가 외부 바이러스, 신체의 면역력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인 만큼 생활 속에서 예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손을 자주 씻는 것만큼 좋은 예방법은 없다. 손을 자주 씻어 감기 바이러스와 접촉 할 수 있는 기회를 차단하고, 손으로 눈이나 코, 입 등을 비비지 않도록 한다.

일교차가 심한 환절기에는 너무 얇은 옷이나 너무 두꺼운 옷을 입기 보다는 얇은 옷을 여러겹 입고 온도에 맞게 탈착을 하는 것이 좋다.
 
특히 3월에는 일교차가 심하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며, 황사․꽃가루 등의 미세먼지가 많은 시기이므로, 따뜻해지는 봄이라고 방심하지 말고 생활 속 위생, 체온 유지 등에 각별히 신경쓰도록 하는 것이 좋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6247488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건의료노조, 127개 의료기관 쟁의조정 신청 완료…7월 24일 총파업 예고
  •  기사 이미지 [6~7월 제약사 이모저모]베이진, 신신제약, 한국머크, 티디에스팜,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목암생명연, 바이엘, 엔지켐생명과학, 한국로슈, 한국머크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