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장애인 치과치료 첫 단계는? ‘동행의식’ - 경희대치과병원 이효설 교수 “가급적 의사소통 통한 접근 중요”
  • 기사등록 2018-04-21 00:43:21
기사수정

4월 20일은 제38회 장애인의 날이다. 과거에 비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과 이동성, 장애인 시설 등은 발전하고 있다. 몸이 불편하고 아프면 병원을 찾는 것이 당연하지만, 장애인에게는 쉽지 않다. 보호자가 있어도 진료와 검사 간 여러 제약도 뒤따른다. 이로 인해 치료시기를 놓쳐 질환을 키우는 사례가 흔하다. 


특히 장애인의 치과치료는 장애인 환자별 맞춤화된 치과진료를 위해 전문 의료기관에서 받아야 한다. 


◆상세한 사전설명 우선 

청각장애가 있는 환자라면 병력청취에서부터 어려움을 겪는다. 진료에 앞서 의료진은 증상에 대해 정확하게 숙지해야만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미리 수화통역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수화통역이 어렵다면, 필담 등을 통해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하고, 충분히 이해한 후에 치료에 임해야 한다. 시각장애도 동일하다. 


경희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 이효설 교수는 “치과 치료의 모든 과정을 상세하게 말로 설명해주고, 궁금증을 최대한 해소시켜줘야 한다”며, “기구에 대한 두려움을 갖지 않도록 직접 만져보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구강검진을 할 때는 “아~ 해보세요”라고 하며 치과기구를 바로 입안에 넣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입장에 서서 상세한 사전설명을 해주는 것이다. 장애인 환자의 마음을 이해하고, 함께 치료해나간다는 동행의식이 곧 장애인 치과치료의 첫 단계이다. 


◆6개월에 한 번씩 검진, 예방진료 위한 치과 방문도 권장 

발달장애가 있는 아동은 낯선 장소와 물건, 사람에게 익숙함을 느끼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특히 미용실이나 병원 같이 신체를 접촉하는 장소를 매우 무서워한다. 치과도 그 중 하나다. 무서움으로 인해 치과치료에 협조적이지 않고 거부하는 사례도 많다. 


경희대치과병원 소아치과 이효설 교수는 “과거에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붙잡는 것, 진정제나 마취를 통한 약물치료 등을 동반했지만, 이는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할 것이다”며, “장애인 치과치료에서는 물리적 방법을 최대한 지양하고, 가급적 의사소통을 통해 접근해야 한다”고 말한다. 


우선 치과라는 공간에 익숙함을 느낄 수 있도록 어릴 때부터 3개월, 적어도 6개월에 한 번씩 검진하고 예방진료를 위한 치과 방문을 권장한다. 


또 치료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함께 철저한 구강 건강관리가 요구되는 이유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523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메디톡스, 한국머크, 한국오가논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삼성바이오에피스, 헤일리온, 한국화이자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3월 제약사 이모저모]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