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척추관 협착증』폐경 이후 여성 환자 많아 - “평상시 바른자세와 운동 스트레칭으로 예방해야”
  • 기사등록 2014-04-21 18:53:58
  • 수정 2014-04-21 19:00:27
기사수정

척추관 협착증이란 척수신경을 둘러싸고 있는 뼈나 인대가 두꺼워짐으로 척추관이 좁아져서 경막낭(dural sac)이나 신경근을 압박하고 그로 인한 간헐적 파행을 비롯한 여러 가지 증상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척추관 협착증(M48.0)’으로 인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척추관 협착증 질환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008년 64만명에서 2012년 114만명으로 연평균 15.6%씩 증가하였으며,여성이 남성보다 매년 1.8~1.9배 정도 더 많았다.

2012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70대(37만 3천명 32.7%)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33만 4천명 29.2%) 50대(22만 6천명 19.8%) 순(順)이었으며 50대 이상 여성이 전체 진료환자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80세 이상이 12 106명으로 가장 많고 70대 10 601명 60대 5 812명 순(順)이며 여성은 70대가 16 015명으로 가장 많고 80세 이상 11 079명 60대 10 168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외과 장호열 교수는 척추관 협착증(M48.0)의 증상 및 원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척추관 협착증은 요통으로 시작하여 엉덩이와 허벅지가 당기고 점차적으로 무릎 아래에서 발바닥까지 저리고 시리게 되며 가만히 있을 때보다 걸어 다닐 때 엉덩이에서 다리까지 터질 듯한 통증이 심해지고 쉬면 통증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밤에 종아리가 많이 아프고 발끝이 저린 증상이 나타난다.

척추관 주위 조직의 비대(팽창탈출된 디스크 + 후관절 비후)로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척수신경(신경관 및 신경근)이 눌려 발생하게 된다.

척추관이 좁아지는 원인은 선척적으로 좁은 신경관을 가지고 태어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후천적 퇴행성 변화로 후관절 황색인대 등의 척추관절 부위가 비후해져서 발생한다.

척추관 협착증은 주로 퇴행성으로 진행하며 디스크 팽륜탈출증과 후관절 비후가 보통 40대에 시작하여 50~60대에서 점차 심해지고 그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며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50대 여성의 경우 대부분 폐경 이후로 척추자체의 퇴행성 협착증(후관절의 비후) 뿐만 아니라 노화 현상과 함께 호르몬의 변화로 인대가 필연적으로 늘어남으로써 척추 전방전위증이 잘 발생한다.

척추관 협착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8년 2 576억원에서 2012년 4 348억원으로 늘어 연평균 1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진료비은 2008년 1 183억원에서 2012년 1 595억원으로 연평균 7.7% 증가하였고 외래는 같은 기간 890억원에서 1 865억원 연평균 20.3% 약국(약품비 및 조제료 등)은 502억원에서 888억원으로 연평균 15.3%증가하였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척추관 협착증‘ 질환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의원급이 가장 많았지만 연평균 증가율은 병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요양기관 종별 진료인원을 비교해보, 의원을 이용한 환자가 전체 진료인원 대비 60.4%(690 985명)로 가장 많았고 병원이 30.3%(346 269명) 종합병원이 15.0%(170 957명) 상급종합병원이 6.1%(69 172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요양기관종별 진료비 추이를 살펴보면 의원급 진료비는 2008년 616억원에서 2012년 1 247억원(19.3%)으로 2배 정도 증가하였고 다음은 병원(16.1%) 약국(15.3%) 종합병원(7.7%) 상급종합병원(5.5%) 순(順)으로 증가하였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척추관 협착증’ 질환으로 입원해 수술한 환자수를 요양기관종별로 살펴보면 병원에서는 2008년 11 980명에서 2012년 16 532명으로 연평균 8.4% 증가했으며 상급종합병원은 5 376명에서 6 344명(연평균 4.2%)로 종합병원은 6 671명에서 7 576명(연평균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진료비는 병원이 가장 많아 2008년 329억원에서 2012년 406억원으로 연평균 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외과 장호열 교수는 ‘척추관 협착증(M48.0)’ 의 예방법 진단?검사 및 치료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허리를 비틀거나 구부리는 동작은 삼가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옮길 때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다리를 굽혀 신체와 가깝게 하여 물건을 잡은 후 다리 힘을 이용하여 물건을 들어올리고 신발은 굽이 너무 높거나 딱딱한 것은 피한다.

체중 감소는 반드시 필요하고 수영 자전거타기 가벼운 걷기 등 허리근육 강화운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수영은 허리나 배 다리의 근육을 강화시키고 물의 부력에 의해 척추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고 협착증의 원인이 되는 하중으로 인해 자극 받은 뼈나 인대의 비후를 줄일 수 있어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이다.
 
담배를 줄이고 스트레칭을 자주하는 것이 좋다. 담배의 경우 혈관 수축을 유발할 수 있고 척추부위 혈관이 수축되면 허혈을 유발시켜 협착증 증상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 및 척추관절을 이완시켜 협착증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무거운 것을 드는 운동이나 조깅 골프 등 척추관절에 하중을 증가시키는 운동은 협착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가장 정확한 검사방법은 척추 MRI이며 척수조영 CT 심박동기  삽입 등으로 MRI 검사가 어려울 경우 척추 CT myelography-CT  검사를 시행한다. 그 외 보조적으로 근전도 검사 신경전도 검사 진단적 신경 차단술 등이 있다.
치료가 필요 없는 무증상인 경우도 있으나 신경관이 좁아진 정도가 심하여 통증이 심할 경우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통증의 악화로 인한 보행장애는 물론 신경병증으로 인한 감각마비나 대소변 장애 하지근력 저하를 초래 할 수도 있다.
척추협착 풍성확장술‘은 척추관 협착증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보통 비수술치료 방법인 주사치료로 분류되며 심장혈관시술에서의 풍선확장술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좁아진 부위를 풍선을 이용하여 넓히는 원리로 개발되었다.

처음에는 추간공협착증에서 풍선확장술을 이용하여 추간공을 넓히고 약을 주입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실제 중심성 협착증에서도 유착을 어느 정도 박리하고 약의 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2449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