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살률은 2003년부터 OECD 국가 중 1위 수준이 지속되고 있어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2023년 자살 사망자 수 1민 3,978명, 자살률 27.3명에서 2024년 잠정 통계로 자살 사망자 수 1만 4,439명, 자살률 28.3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9일 이형훈 제2차관 주재로 시·도 부단체장과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으로 발표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강력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고 밝혔다.
◆ 25.5억 원 추경 예산…예방 사업 강화
복지부는 자살예방 사업 지원을 위해 2025년 제2차 추가경정 예산에 시급한 예산 약 25.5억 원을 추가 편성했다고 발표했다.
편성된 주요 예산은 응급실 내원 자살지도자 치료비 지원 확대에 5.1억 원, 지역 맞춤형 자살예방 사업 지원에 4억 원, 자살유발정보 모니터링 인력 확충 및 인식개선 캠페인 확대에 12.1억 원,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1:1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신규 도입에 4.3억 원 등이다.
특히 지역맞춤형 자살예방사업 예산은 주민 스스로 주변의 자살 위험에 처한 이들을 발굴하여 신속히 자살예방센터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생명지킴이 활동'을 더 활성화하는데 쓰일 예정이다.
◆ 지역별 현황 모니터링과 현장 컨설팅 확대
복지부는 향후 지역별 자살 현황을 분기별로 모니터링하고 점검 회의 등을 통해 관리를 더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현재 시행 중인 자살률이 높은 지역에 대한 '현장 컨설팅'도 확대해 지역이 더 효과적인 자살예방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현장 컨설팅은 자살률이 높은 지역에 직접 찾아가 지자체 및 민간 유관 단체 등과 협력하여 구체적인 솔루션을 도출하는 지역 맞춤형 정책 컨설팅이다.
◆ 지역별 자살률 현황
2024년 잠정 통계에 따르면 제주도가 인구 십만명 당 34.7명으로 가장 높았고, 강원도 34.5명, 충남 34.1명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은 23.4명으로 가장 낮았으며, 세종시가 22.7명으로 뒤를 이었다.
◆ 중앙정부-지자체 협력 체계 구축
이형훈 제2차관은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모든 공직자들이 가장 어려운 국민들 개개인이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다짐으로 서로 협력해야만, 더 많은 생명을 살리고 따뜻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살 예방을 위한 재정적,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고, 필요한 정책 개선에 대해서도 경청하여 최대한 반영할 것”을 약속했다.
한편 자살은 복합적 위기가 중첩될 때 발생 위험이 커지므로, 위기 요소에 대한 선제적 예방과 위기에 처한 이들을 신속히 찾아 지원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