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6월 19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AI 헬스케어 협업과제 사업추진협의체’를 개최해 의료 AI 모델 개발부터 현장 활용까지 다부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 7개 기관 50여 명 참석한 첫 협의체
이번 협의체는 ‘AI 헬스케어’ 다부처 협업 패키지의 효율적 추진과 공동 성과 창출을 위해 마련됐다.
보건복지부를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질병관리청,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등 7개 기관과 15개 과제 연구책임자 등 약 50명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는 각 과제별 사업 설명과 협업 방안 논의가 핵심 안건으로 다뤄졌다.
특히 개별 과제의 전문성을 존중하면서도 과제 간 유기적 연결점을 발굴하는 데 중점을 뒀다.
◆ 총 185억원 규모 15개 과제 추진
AI 헬스케어 다부처 협업 패키지는 2025년 기준 총 185억원 규모로, 7개 세부사업에 15개 과제가 포함돼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다기관-멀티모달 연합학습 기반 의료 인공지능 기술 시범모델 개발(68억원) ▲의료인공지능 특화 융합인재 양성(45억원) ▲AI 기반 디지털의료제품 안전성·신뢰성 확보 기술 개발(29억원) ▲의료데이터 합성기술 및 의료AI 기술 기반 디지털의료제품 개발(28억원) 등이 있다.
사업 기간은 과제별로 1년부터 6년까지 다양하며, 2025년부터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복지부가 주관하는 2개 과제가 총 113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 데이터 상호운용성과 규제 정합성 강화
협의체에서는 데이터 공유·활용과 규제 정합성 검토 등 부처 간 협력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보건의료에 특화된 AI 모델 개발과 함께 개발된 모델이 실제 의료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식약처는 AI 기반 디지털의료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과 함께 규제과학 교육프로그램 개발도 담당한다.
이를 통해 AI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적 성과 도출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 융합인재 양성부터 현장 활용까지 종합 지원
이번 패키지는 AI 헬스케어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 지원 체계 구축이 특징이다.
단순히 기술 개발에 그치지 않고 의료와 AI 분야 융합인재 양성까지 포함해 지속가능한 혁신 기반을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질병관리청은 헬스케어 이종데이터 활용체계 구축과 인공지능 개발을 담당하며, 산업통상자원부는 의료데이터 합성기술과 디지털의료제품 개발을 지원한다.
각 부처의 전문성을 살린 역할 분담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