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뼈 재생 촉진하는 고기능성 생체재료 플랫폼 개발…PLLA 기반 표면 개질 기술 - 은평성모병원 박해관, 가톨릭대학교 전흥재 교수팀
  • 기사등록 2025-06-18 01:30:03
기사수정

세포가 잘 자라고 뼈가 자라날 수 있도록 돕는 고기능성 생체재료 플랫폼이 개발됐다.


은평성모병원 신경외과 박해관 교수, 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교실 전흥재 교수팀은 분해성 고분자인 폴리-L-젖산(PLLA)의 표면을 생체 모사 방식으로 개질해 세포 접착력과 생체친화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대한 논문[Investigation on biomimetic mineralization and its effect on MG-63 cell behavior on poly L-lactic acid surfaces through poly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conjugation : 교신저자 박해관 교수·전흥재 교수]을 발표하며, 향후 골조직 재생을 포함한 다양한 조직공학 기반 치료 플랫폼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는 기술의 기반을 마련했다. 

PLLA는 생체 내 분해가 가능해 차세대 정형외과용 소재로 주목받고 있지만, 표면의 소수성으로 인해 세포 부착성이 낮고, 신생 뼈 형성이 지연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수팀은 PLLA 표면에 인산기(phosphate group)를 도입할 수 있는 생체 친화 코팅물질(PMPC)를 결합하고, 이를 통해 인공 미네랄화(HCA; hydroxycarbonate apatite)를 유도했다.


교수팀은 이 개질된 PLLA-PMPC 표면을 체액 유사액(SBF)에 침지해 14일간 미네랄화를 유도했고, 이후 표면에 자연골과 유사한 HCA 결정이 형성됨을 확인했다. 


이 구조는 세포외기질 단백질 중 하나인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흡착을 유도하며, MG-63 세포(인간 골육종 유래 세포)의 부착 및 증식을 현저하게 향상시켰다. 


또한, HCA가 형성된 PLLA-PMPC 표면에서는 세포 부착을 매개하는 인자들의 발현이 급증했고, 세포 증식 관련 신호전달 체계도 활성화됐다. 이로 인해 MG-63 세포의 증식률이 기존 PLLA 대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해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에 표면 미네랄화를 유도해 세포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 것으로, 향후 골조직 재생을 포함한 다양한 조직공학 치료 플랫폼에 응용될 수 있다”며, “이를 위한 이식 관련 연구를 현재 산업자원부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E급 저널인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Impact factor: 5.9) 5월호에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818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