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5월 28일은 ‘세계 혈액암의 날’이다.
대한혈액학회가 전 세계에서 35초마다 한 명씩 진단받는 혈액암에 대한 인식 개선과 함께 혁신적 치료법 발전으로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 생소하지만 결코 드물지 않은 혈액암
세계 혈액암의 날은 독일의 국제 비영리단체 DKMS가 2014년에 제정한 기념일로, 골수 기증자와 혈액암 환자를 연결하고 혈액암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전 세계 곳곳에서 혈액암 퇴치를 위한 다양한 캠페인과 행사가 펼쳐지며, 뉴욕의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이 빨간 조명으로 물드는 등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혈액암은 폐암, 간암, 위암 등의 고형암에 비해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결코 드물지 않은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35초마다 한 명씩 림프종이나 백혈병과 같은 혈액암 진단을 받고 있어 그 심각성을 보여준다.
특히 혈액암은 연령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
신생아부터 80~90대 고령층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발병 가능성이 있어 ‘특정 계층만 걸리는 암’이 아니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 다양한 혈액암의 종류와 특징
혈액암은 크게 급성백혈병, 만성백혈병, 림프종, 다발골수종 등으로 분류된다.
급성백혈병은 골수에서 비정상적인 백혈구가 급속히 증식하는 질환으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며, 만성백혈병은 상대적으로 천천히 진행된다.
림프종은 림프계에 발생하는 암으로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의 림프절 종대가 주요 증상이고, 다발골수종은 골수에서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골 파괴, 빈혈, 신기능 저하 등을 동반한다.
◆ 혁신적 치료법…생존율 대폭 향상
과거에 비해 혈액암 치료는 눈부신 발전을 이뤘다.
표적치료제, 면역항암제, CAR-T 세포치료 등 혁신적인 치료법들이 도입되면서 환자들의 생존율과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됐다.
특히 조혈모세포이식 기술의 발달로 많은 환자들이 완치의 희망을 갖게 됐다.
대한혈액학회 관계자는 “혈액암은 더 이상 절망의 질환이 아니다. 희망과 용기를 잃지 않고 함께 치료한다면 분명히 이겨낼 수 있는 질환”이라고 강조했다.
◆ 헌혈과 조혈모세포 기증으로 생명 나누기
세계 혈액암의 날을 맞아 일반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다.
▲헌혈
먼저 헌혈을 통해 생명을 나눌 수 있다. 혈액암 환자들에게 수혈은 생명줄과 같다.
항암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빈혈이나 혈소판 감소증으로 인해 정기적인 수혈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건강한 성인의 헌혈 한 번이 혈액암 환자에게는 소중한 생명의 선물이 될 수 있다.
▲조혈모세포 기증 등록
조혈모세포 기증 등록도 중요하다. 조혈모세포이식은 많은 혈액암 환자들에게 완치의 기회를 제공하는 치료법이지만, 이식에 적합한 기증자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형제자매 간에는 약 25% 확률로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하지만, 비혈연 간에는 약 2만명 중 1명꼴로 일치하는 매우 희귀한 확률을 보인다.
기증 희망자 수가 많을수록 환자에게 적합한 기증자를 찾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헌혈의집이나 적십자사를 통해 조혈모세포 기증 등록을 하면 언젠가 누군가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 조기 발견을 위한 주요 증상들
혈액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주요 증상들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원인 불명의 발열, 식은땀, 체중 감소, 극심한 피로감과 같은 전신 증상이나, 쉽게 멍이 들거나 출혈이 잘 멈추지 않는 경우, 창백함과 같은 혈액 관련 증상이 지속될 경우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야 한다.
또한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의 림프절이 커지는 경우, 복부 팽만감, 골 통증, 감염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전문가들은 혈액암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주변에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 대한혈액학회 ‘희망의 메시지’ 전달
대한혈액학회 김석진 이사장은 “세계 혈액암의 날을 맞아 혈액암과 싸우고 있는 모든 환자분들과 가족분들께 깊은 위로와 응원의 말씀을 전한다”며 “대한혈액학회는 지난 수십 년간 혈액질환 연구와 치료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며, 환자분들의 완치와 건강한 삶을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들어 혈액암 치료 성과가 괄목할만하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치료가 어려웠던 재발성 혈액암 환자들도 새로운 면역치료제 덕분에 희망을 갖게 됐다. 여전히 적합한 조혈모세포 기증자를 찾지 못해 고통받는 환자들이 많다”며 “건강한 시민 여러분이 조혈모세포 기증 등록에 적극 참여해주시길 부탁드린다”라며, “혈액암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절망할 필요는 없다. 환자분들과 가족분들께서는 희망을 잃지 마시고, 의료진과 함께 끝까지 싸워나가시길 바란다. 우리 학회도 더 나은 치료법 개발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