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발병 전 단계에서의 시신경 구조 변화를 규명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강원대학교병원(병원장 남우동) 안과 송지은·정영훈 교수팀은 녹내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질환인 거짓비늘증후군 환자 50명과 건강한 대조군 50명을 비교해, 시신경 내부의 핵심 구조물인 사상판의 두께를 측정했다.
그 결과, 거짓비늘증후군 환자들은 대조군에 비해 사상판 두께가 전반적으로 얇아져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시신경이 손상되기 쉬운 상태로 변하고 있다는 조기 징후로 해석된다.
특히, 복합 통계 분석에서도 거짓비늘증후군의 존재가 시신경 구조 약화와 독립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아직 녹내장이 발병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구조적 변화가 이미 시작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다.
송지은(사진 왼쪽)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시신경 손상이 본격화되기 전, 매우 초기 단계에서의 변화를 포착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녹내장 고위험군에 대한 선제적 진단과 모니터링 체계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정영훈 교수는 “사상판의 두께 감소는 녹내장 진행 가능성을 가늠하는 구조적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다”며, “실제 임상에서의 조기 진단과 예방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안과 학술지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2025년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녹내장이 발생하기 전 단계에서 이미 시신경 내부의 구조가 변화하고 있음을 밝혀낸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편 녹내장은 시신경이 점차 손상되어 시야가 좁아지는 질환이며,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진단이 어렵고 실명까지 이어질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