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내 첫 백일해 사망자 발생…“임부 예방접종 및 예방적 항생제 사용 필요” - 대한소아감염학회 “ASP 시범사업 관련, 적절한 인력양성 필요”
  • 기사등록 2024-12-04 00:00:02
기사수정

국내 첫 백일해 사망자(생후 2개월 미만)가 발생한 후 소아감염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백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예방접종 및 예방적 항생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소아감염학회 이진아(서울아산병원 교수) 홍보이사는 지난 11월 22일 가톨릭대학교 옴니버스파크 컨벤션홀에서 개최된 추계학술대회에서 본지와 만난 자리에서 “국내에서 백일해 사망은 지난 2011년도 이후 약 13년만에 처음이다. 이번 사례는 약 2개월이었기 때문에 접종도 할 수 없는 상황이었고, 너무나 안타까운 상황이었다.”라고 설명했다.

◆백신 접종과 초기 빠른 치료 중요 

그동안 국내에서는 백일해 사망이 없어서 이번 영아 사망 사건이 집중 조명을 받았지만 해외에서는 백일해 사망이 가끔 발생하고 있다.


실제 분당차병원 소아청소년과 이택진 교수가 지난 11월 22일 개최된 대한소아감염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2024년 백일해 유행 :역학과 관리’에 따르면 영국의 경우 지난 12년간 31명의 영유아가 백일해로 사망했다. 


이 중 25명이 임신 기간 중 백일해 백신을 맞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진아 이사는 “임산부가 백일해 예방 접종을 맞는다고 100% 예방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엄마가 접종을 하게 되면 아기한테 예방 효과는 있을 것이다. 이번에 사망한 영아의 경우 2개월미만 이어서 접종도 못한 상황이었다. 백일해로 인해 걱정이 높지만 어려운 병은 아닌 만큼 과도한 공포심은 적절하지 않다.”라며, “백신 접종과 함께 초기 문제 발생시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백일해 확진자 중 중증 위험 

백일해 확진자 중 ▲2세 미만의 영아, ▲생후 6개월 미만 영아, ▲임신 마지막 달의 임부 및 접촉이 있었던 확진자,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등의 경우 확진 보고 이후 1일 이내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이런 위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면 신생아의 중증 위험이 높아진다. 


이진아 이사는 “특히 6개월 미만의 고위험군 영아들은 증상이 급격하게 진행되고, 무호흡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백일해 예방적 항생제…초기 사용 중요 

예방적 항생제 효과는 초기에 사용하는 것 외에는 제한적이다.

실제 백일해 노출 이후 1주일 이내에 복용하면 89%, 2주 이내면 37%, 2주 이후의 경우 약2%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 발표되고 있다. 


박수은(부산대학교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회장은 “전염력이 높은 백일해는 조기 예방 및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제2급 감염병 백일해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에 감염돼 발생하는 제2급 감염병이다. 

백일해(12~17)의 감염력은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전염성이 높은 홍역(12~18)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는 계절성 독감(1.5∼2.5), 콜레라(2∼4) 등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국내에서는 모든 영유아에게 생후 2, 4, 6, 15~18개월, 만 4~6세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백신을 접종한다. 

총 4번의 접종을 모두 마무리해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만 11~12세에 Tdap(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백신 추가 접종을 시행한다.


◆‘항생제 적정사용 관리료(ASP)’ 시범사업

한편 지난 11월 1일부터 시작된 질병관리청의 ‘항생제 적정사용 관리료(ASP)’ 시범사업과 관련해 적절한 인력양성이 필요하다는 입장도 제시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의료기관의 항생제 처방 적정성을 높이고 올바른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도입했다.


문제는 소아의 경우 특성상 항생제 노출은 물론 내성 위험도 높지만 소아전문 인력 부족으로 이를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다. 

이진아 이사는 “실제 의료기관 모든 종별에서 항생제 내성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지만 ASP 전담인력이 있는 기관은 5.2%에 불과하다.”라며, “성공적인 시범사업을 위해 ▲ASP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전문 교육체계, ▲ASP 이행을 위한 항생제 사용관리 전산시스템, ▲의료인의 적극 활동을 유인하기 위한 보상체계 등 미흡한 부분들을 국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박수은 회장은 “임상 현장에서 적절한 대처를 위해서는 소아감염을 전담하는 인력이 필요한데 대표적으로 전북, 전남지역의 각 1명씩의 소아감염 전문의가 있을 뿐이다.”라며,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통해 실질적인 개선이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460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대한안과학회, '눈의 날' 맞아 유튜브 채널 ‘눈에 띄는 이야기' 오픈
  •  기사 이미지 대한소아감염학회, 제11판 예방접종지침서 개정판 최다 변경 부분들 소개
  •  기사 이미지 대한당뇨병학회 ICDM2024 개최…30개국 약 1,700명 이상 등록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