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MSD 키트루다, 조기 폐암의 수술 전·후 보조요법 2개 적응증 확대 승인 - 키트루다, 비소세포폐암 포트폴리오 완성 기념 기자간담회
  • 기사등록 2024-05-23 18:45:38
기사수정

한국MSD(대표이사 김 알버트) 항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가 2개 폐암 보조요법 적응증(KEYNOTE-671, KEYNOTE-091) 허가됐다.


이를 기념해 23일 ’전이성 폐암의 표준치료 옵션 키트루다, 조기 폐암 환자의 새로운 희망이 되다‘를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통해 키트루다의 허가 임상 데이터는 물론 다양한 관점의 최신 지견들이 제시됐다. 


실제 키트루다는 지난 2023년 12월 절제 가능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로 수술 전 보조요법으로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요법, 이어서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서 단독요법으로 적응증을 허가받았다. 


이어 지난 5월 14일 절제술과 백금기반 화학요법제 치료를 받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적응증을 확대하며 폐암 영역에서 키트루다의 입지를 다시금 확대하고, 국내 조기 폐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내일에 대한 희망을 제시했다.


◆폐암 치료의 새 패러다임 제시

이번 간담회에서는 우선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세훈 교수는 ‘조기 폐암에서 키트루다의 임상적 의의와 KEYNOTE-671 및 KEYNOTE-091 임상연구 소개’를 통해 기존 조기 병기 비소세포폐암 치료의 미충족 수요와 2개 적응증 허가의 기반이 된 KEYNOTE-671, KEYNOTE-091 임상연구를 통해 확인한 키트루다 치료요법의 임상적 혜택을 조명했다.


2기, 3A기 또는 3B기 비소세포폐암의 수술 전∙후 보조요법으로서 키트루다의 치료 효과를 평가한, KEYNOTE-671 임상연구 결과에 따르면 키트루다는 PD-L1 발현율과 무관하게 기존 치료 대비 ▲사망 위험 28% 감소 ▲수술 후 재발 위험 41% 감소 등 치료 혜택을 확인했다. 


또한, 1B기, 2기 또는 3A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키트루다 단독요법 허가의 기반이 된 KEYNOTE-091 임상연구에서도 PD-L1 발현율과 무관하게 ▲재발 위험 24% 감소 ▲1년 가까이 연장된 무질병 생존(DFS, Disease-Free Survival) 개선이 확인됐다.


이세훈 교수는 “비소세포폐암은 수술 후에도 5년 내 암이 재발하거나 전이될 가능성이 높고, 이 역시 초기에(15개월 이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질병부담이 큰 암종이었다. 따라서 보조 항암치료가 암의 재발과 사망 위험 감소에 매우 중요했으나, 항암화학요법 중심의 기존 치료 옵션은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있어 임상적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었다.”라며, “지난해에 이어, 이달 들려온 키트루다의 적응증 허가 소식으로 미충족 수요가 높았던 비소세포폐암 환자들도 치료 혜택을 입증한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흉부외과 관점에서 수술 가능한 조기 폐암 환자의 수술 전·후 보조요법의 임상적 의의

이어 삼성서울병원 흉부외과 김홍관 교수는 ‘흉부외과 관점에서 수술 가능한 조기 폐암 환자의 수술 전·후 보조요법의 임상적 의의’라는 주제로, 외과적 절제가 가능한 조기 병기 폐암의 질환적 특징과 실제 임상현장에서 수술 전, 후의 보조요법이 갖는 중요성을 소개했다.


일반적으로 1기에서 3기 폐암은 근치적 목적의 수술을 표준치료로 진행한다. 

하지만 해당 병기의 환자라도 종양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거나 상대정맥 침범, 종격동 림프절 침윤 등 종양의 위치에 따라 일부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존재하고, 수술적 절제 후에도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홍관 교수는 “조기에 폐암을 발견한 환자라도 종양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해 표준치료를 받기 어려웠다. 하지만 이제는 키트루다 선행 보조요법을 통해 수술 전 종양의 크기를 줄이고, 미세전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수술의 경계선에 놓여있던 환자들에게도 임상적 혜택이 입증된, 가장 효과적인 치료를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됐다.”라며, “키트루다 기반의 보조요법, 특히 글로벌 표준치료로 권고되고 있는 수술 전·후 보조요법을 통해 수술 전 선행항암요법으로서 수술 성적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서 재발 위험을 낮춰 사망 위험 감소, 나아가 전체 생존율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한국MSD, 연구와 투자 지속

한국MSD 의학부 김수정 전무는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의 변화와 혁신 키트루다, 희망을 주도하다’에 대한 발표를 통해 조기 병기를 포함한 국내 폐암 치료 혜택 향상을 위한 한국MSD의 미션과 노력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김수정 전무는 “이번 적응증 확대는 키트루다가 전이성을 비롯해 조기 폐암까지 다양한 치료 단계를 아우른 포트폴리오를 완성하고, 국내 폐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다시 한번 리딩한다는데에 깊은 의의를 갖는다.”라며, “키트루다는 국내 허가 면역항암제 중 비소세포폐암 영역에서 가장 많은 적응증을 보유한 면역항암제로, 한국MSD는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수명 연장을 위한 임상연구를 활발히 펼치며 키트루다가 가진 더 많은 가능성의 발견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한국MSD 항암제사업부 이민희 전무는 “한국MSD는 항암 분야를 선도하는 회사로 또 한 번 폐암 영역에서 새로운 비전을 선보일 수 있어 매우 기쁘다.”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환자들이 키트루다를 비롯한 혁신적인 치료제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이어나갈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122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