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이하 ‘광역상황실’) 기능 강화를 추진한다.
현재 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등 4개 권역에서 운영 중인 광역상황실을 인구가 많은 수도권, 경상권에 7월 말 추가 개소한다.
▲상황의사 근무수당 인상(12시간당 45만 원➝60만 원) ▲상황요원 채용 확대 등 광역상황실 기능 확대를 위한 인력 충원도 추진한다.
◆Pre-KTAS1 환자에 대한 협력 강화
최중증응급환자인 Pre-KTAS(병원 전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체계로서, 병원 도착 전 이송 단계에서 환자의 증상에 따른 적정병원 선정을 위해 마련한 분류체계) 1 환자에 대해 광역상황실과 119구급상황관리센터 간 협력을 강화한다.
Pre-KTAS 1 환자의 이송이 지연되는 경우 구급상황관리센터는 광역상황실로 공동대응을 요청하고, 요청받은 광역상황실은 환자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받아 병원 선정을 지원한다.
보건복지부와 소방청은 기관 간 공동대응 프로토콜(안)을 마련했으며, 5월 중 현장에 조속히 적용할 예정이다.
◆의과대학 교수 겸직근무도 활성화
의과대학 교수의 겸직근무도 활성화한다.
정부는 의과대학 교수가 광역상황실 겸직근무를 신청할 경우 신속히 겸직 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40개 의과대학 총장과 ▲대한병원협회에 겸직 허가 협조 요청 공문을 발송(대학총장 5.2, 병원협회 5.3)하여 의과대학 교수가 대학총장·병원장 허가를 통해 겸직근무가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종합상황판 이용자 편의성 향상
종합상황판 이용자(일반국민·구급대·의료기관 등) 편의성도 향상시킨다.
종합상황판이 표출하는 정보(의료기관의 병상·장비 등 자원현황, 진료제한과목 현황 등)를 실시간 수준으로 현행화하고, 일반국민, 구급대, 의료기관 등 이용자별 필요한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토록 기능을 개선할 예정이다.
한덕수 본부장은 “비상진료체계에 힘이 되어주는 여러 병원과 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땀 흘리고 있는 군의관, 공중보건의사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정부는 앞으로도 인적·물적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비상진료체계 유지에 전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의료공백을 최소화하여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면서 의료개혁 완수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 국민 여러분께서도 정부의 의료개혁에 대한 의지를 믿고 끝까지 함께 해 주시길 당부드린다.”라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